
ㆍ글쓴이 : 구의서
ㆍ본관 : 능성구씨
ㆍ작성일 : 2020년 06월 01일(월) 14:51
제 목 : 족보 용어
족보용어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시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
피터팬 |
족보용어
시조[始祖]
제일 처음 선조[先祖]로 첫번째 조상을 지칭하며 선대 조상중에
가장 높은 사람을 시로[始祖]라 합니다,
비조[鼻祖]
시조 이전의 계가 없을 경우에 비조라고 칭할수도 있습니다,
중시조[中始祖]
시조 이하의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을 모든종중의
협의에 따라 정한 인물이며 추존[追尊]한 사람 입니다,
선계[先系] & 세계[世系]
선계란 시조이전 또는 중시조 이전의 조상을 지칭하며
세계란 대대로 계보를 이어가는 계통의 차례를 의미 합니다,
방주[旁註] & 방서[旁書]
일의 실적이나 공적을 기록한 부분 또는 서책을 말합니다,
자[字]
20세가 되면 요즘은 성년식[成年式]과 같은 관례를 행하는데
이때 주례자가 예식을 거행 하면서 지어주는 이름자 입니다,
휘[諱]
고인[故人]이 된후에 亡子[망자]의 이름을 지칭할때 諱[휘]라고
합니다,
호[號]
선생이나 동문[同門]의 친구들이 서로 존경하는 뜻으로 지어주는
이름자 입니다,
항렬[行列]과 항렬자[行列子]
같은 혈족 사이에 서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문중 율법이며
항렬자란 이름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돌림자 라고도 합니다,
항렬자는 각 종중마다 각각 다르게 정하고 있으나 금수목화토
[金水木火土]의 5행순에 따라서 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世] & 대[代]
시조를 1세로하여 차례로 따져서 차례로 정한것을 세[世]라 하고
자기를 뺀 나머지를 따져서 정한것을 대[代]라 합니다,
출후[出后] & 출계[出系]
다른 집으로 양자를 간 경우를 나타내는 뜻 입니다,
계자[系子] & 계자[繼子]
아들이 없어 양자로 들어 온 경우를 뜻 합니다,
조요[早夭] & 향년[享年] & 수[壽]
20세 이전에 사망을 하면 요절[夭折 : 젊어서 죽음]이란 뜻으로
조요[早夭]라 표시하고 70세가 되기전에 사망하면 향년[享年]
으로 표시하며 70세가 넘어서 사망하면 수[壽]라고 하여
방서[旁書]란에 기록 합니다,
후사[後嗣] & 양자[養子]
대[代]를 잇는 자식이란 뜻으로 계대[系代]를 잇는 자손을 말하며
만일에 계대를 잇을 자손이 없는 경우에는 무후[無后] 양자로
출계[出系] 하였을 경우에는 출후[出后] 양자로 들어온 사람은
입후[入后].서얼[庶蘖 : 첩의 아들]오서 입적이 되었을 경우에는
승적[承적]이라고 기록 합니다,
족보[族譜]
족보는 수록된 동족[同族]의 범위에 의하여 보첩[譜牒]을 구분하면
일반적으로 한 동족[同姓同本] 의 전체를 기록하는 계보[系報]와
한 동족[同姓同本]안에 분파[分派]의 세계[世系]만을 수록하는
파보[派譜]등이 있으며 세보[世譜].족보[族譜],파보[派譜].
가승보[家乘譜],계보[系譜].대동보[大同譜] 등등 60여종이 있다고 합니다,
|
2020.06.08 11:5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