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진주소씨(晋州蘇氏)
유래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소두산(蘇斗山, 1627 丁卯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소봉(蘇逢) : 문과(文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을과(乙科) 소세량(蘇世良, 1476 丙申生)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식년시 병과(丙科) 소호인(蘇好仁, 1356 丙申生) : 문과(文科) 태조2년(1393)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소우석(蘇禹錫) : 문과(文科) 세조5년(1459) 식년시 정과(丁科) 소사원(蘇泗源, 1563 癸亥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병과(丙科) 소동도(蘇東道, 1592 壬辰生) : 문과(文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병과(丙科) 소사식(蘇斯軾) : 문과(文科) 성종5년(1474) 식년시 병과(丙科) 소세양(蘇世讓, 1486 丙午生) : 문과(文科) 중종4년(1509) 별시 을과(乙科) 소혜(蘇○) : 문과(文科) 선조1년(1567) 식년시 갑과(甲科) 등 모두 67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12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46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
진주(晉州)은 경상남도 남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삼한시대에 소국인 고순시국(古淳是國)이 있었던 곳이다. 백제의 거열성(居烈城)이었고, 신라 문무왕 때 신라의 영토가 되어 거열주(居烈州)라 불리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9주 5소경제(九州五小京制)의 실시와 함께 강주도독부(康州都督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에 강주(康州)로 환원되었다. 983년(성종 2) 전국에 12목을 둘 때 진주목이 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정해군(定海軍)이라 하고 절도사(節度使)를 두어 산남도(山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에 안무사(按撫使)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진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진주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진주목으로 회복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가 되었다가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진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道制) 실시로 경상남도 진주군이 되었다. 1931년에 진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39년 진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진양군이 진주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주소씨는
1985년에는 총 9,196가구 38,872명, 2000년에는 총 11,521가구 37,184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