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무송유씨(茂松庾氏, 평산)
유래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순도(庾順道) : 문과(文科) 태조5년(1396)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유득화(庾得和) : 문과(文科) 세종23년(1441) 식년시 정과(丁科) 유지(庾智) : 문과(文科) 세종14년(1432)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유복렬(庾馥烈, 1849 己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유진한(庾鎭韓, 1695 乙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년(1727) 증광시 삼등(三等) 유성렬(庾聖烈,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3년(1876) 식년시 삼등(三等) 유용(庾容)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38년(1543) 식년시 삼등(三等) 유식(庾軾, 1586 丙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1년(1633) 식년시 삼등(三等) 유핵(庾○, 162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8년(1657)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9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생원진사시 6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고창
무송(茂松)은 전라북도 고창군(高敞郡) 무장면(茂長面) 지역에 있던 옛 행정구역명이다. 무장면은 무송과 장사(長沙)가 합쳐진 이름이다. 백제 때에는 송미지현(松彌知縣)과 상로현(上老縣)이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무송과 장사현으로 개명하였으며, 1417년(태종 17)에 두 현을 통합하여 무장현(茂長縣)으로 개편하였다. 1906년에 전라북도로 소속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무장군이 폐지되고 무장면으로 축소되어 고창군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무송유씨는
1985년에는 총 2,222가구 9,475명, 2000년에는 총 3,869가구 12,464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