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글쓴이 : 이상엽       본관 : 공주이씨       작성일 : 2006년 04월 02일(일) 12:28
  • 제 목 : 공주이씨 본문 수정요망
  • 공주이씨에 대한 자료 부족 때문이신지 설명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아래의 본문을 공주이씨 자료에 첨부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조(始祖)는 신라 때 사람 천일(天一)이다. 그는 박혁거세5년(기원전53년)에 문명이 뛰어나 중국 한나라에 들어 갔다. 대사마대장군이 되어 흉노적을 정벌하고 요동백(遙東伯)에 봉해진 후 신라에 돌아 와 공산군(公山君)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무공(文武公)이시다.
    공주이씨 세계도에 의하면 신라 고려조에 이르는 동안 그 자손들은 상신 봉군 현공의 대를 이어 왔으며 특히 31세 백령(栢齡)이 양산이씨(陽山李氏)의 관조로, 34세 자송(子松)이 수원이씨(水原李氏)의 관조로 분적되었다. 고려조 후대 36세인 전공시랑 양호공(揚胡公)의 아들 저(苧)는 보문각대제학 화성부원군이며 손자 사손(思孫)은 첨의 정승이고 증손 엽(曄)은 강원도관찰사 전공판서 정충공(貞忠公)으로 청백리이고 그 아우 서(曙)는 찬화공신으로 참지의정부사이며 그 아들 대에서 7파로 갈라졌다. 즉 엽의 여섯 아들이 경력공파(經歷公:明善). 문송공파(文成公:明誠). 공숙공파(恭肅公:明德). 지평공파(持平公:明保). 참의공파(參議公:明尹). 현감공파(縣監公:明義). 그리고 서의 아들이 강양공파(剛襄公:敷)로 분파되었다.
    공산은 공주의 옛 지명으로 시조가 공산군에 봉해졌으므로 공주를 본관으로 세계를 이어왔으며 같은 관향이면서 공주라 하는 문중과 공산이라 칭하는 문중이 있으나 동근 동원이다.
    고려 말에 감찰전 중시어사와 지제고를 지내고 고려가 망함에 불사이군의 절개를 지켜 두문동 절의록에 두문동72현중 항절충신으로 올라 있는 송은(松隱) 문성공(文成公)과 조선 세종조에 4조의 판서와 예문관 대제학 및 판중추원사를 지내고 우의정에 증직되신 사봉(沙峰) 공숙공(恭肅公), 그리고 조선조 개국공신 공조판서와 보문각대제학를 지내신 강양공(剛襄公)을 위시하여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16명을 배출하였다.
    명신현유와 충효문장의 주요 인물는 문장가(文章)로 풍계공(楓溪公) 이건(李鍵)은 금부도사를 지낸 보사원종공신이고, 귀락당(歸樂堂) 이광필(李光弼)은 공조판서로 이산묘(餌山廟) 영모사에 배향되고 있으며 용아제(聳啞齊) 이추(李樞)는 증 호조참판이시고, 덕암(德巖) 이응거(李膺擧)는 효자 문장으로 뽑혀 동지중추부사, 도총관, 한성부 판윤을 지내고 시호는 돈희공(敦僖公)이며, 구암(龜岩) 이원배(李元培)는 증 이조판서 문의공(文懿公)으로 도북사(道北祠)에 배향되고 있다. 청백리(淸白吏)로는 빈교(貧郊) 이지온(李之온)을 꼽을 수 있다. 그는 삼척부사, 형조참판, 동지중추부사, 의금부사, 한성좌윤 우윤을 지냈으나 “가난을 락”으로, “재산이 없음을 좋아 한” 강직한 사람이었다. 임진왜란 공신으로는 북관대첩 옥탑평 전투에서 전사한 이붕수(李鵬壽) 별장(別將)는 의병창의를 주도한 의병장으로 사헌부감찰, 지평, 부제학에 증직되었고 경성 창렬사(彰烈祠)에 배향되고 있으며, 부산진성 전투에서 순직한 이정헌(李庭憲) 부사맹(副司猛)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 참찬관에 증직되었고 부산 동래서원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되고 있다. 또한 수군통제사로 노량 해전에서 전사한 이몽구(李夢龜)는 이충무공의 좌별도장(左別都將)으로 왜장의 전승 신표인 부채 금선(金扇)을 노획하였다. 그 외 노량 해전에서 전사한 이지현(李之賢) 부장(副將), 공주 공산성 전투에서 전사한 이천장(李天章) 부장(副將)등 많은 공신이 있다.
    근 현대에 와서는 독립운동가로서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중 한 분이신 이필주(李弼柱)목사, 안명근 의사와 안악사건을 주도한 이승길(李承吉)목사, 분대장으로 청산리 전투에서 전사한 이화일(李化日) 독립군이 있으며, 국회부의장 이영준(李榮俊)박사, 육군총참모장과 합참의장을 역임한 이형근(李亨根)대장,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과 감사원장을 지낸 이주일(李周一)대장, 고려대학교 총장과 문교부장관 그리고 국회의원을 하신 이종우(李鐘雨)박사 등을 대표적인 주요인물로 꼽을 수 있다.
    공주이씨 시조를 위시한 선조의 모선단(慕先壇)이 충남 공주시 월송동에 충남도 문화재인 사액서원 명탄서원(鳴灘書院) 후원에 자리하고 있고, 문성공과 공숙공 양위분의 영정을 모신 충절사(忠節祠)가 그 아래에 있으며. 전북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 문성공과 공숙공 양위분를 모신 충절사(忠節祠)와 전남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에 공숙공를 모신 충현사(忠賢祠)가 있다. 또한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에 강양공를 모신 불천지위사당인 흥원사(興原祠)가 있다.
    공주이씨 인구는 2000년 인구조사에서 1만 1762가구에 3만 838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호인 오늘은 공주이씨에 대히여 알고 싶었다,본인은 문성공 할아버님 18대 자손이지만 부끄럼이 많았읍니다 , 그렇치만 참여 하고 싶어요? 2009.08.25 21:50
    삭제
     
    이상돈 저는 강양공 자손임니다 저는 나이만 먹었지 안는것이 없쯥니다 이가분 올려놓으신 글잘보아 쯥니다 2012.04.21 15:20
    삭제
     
    이름
    비밀번호
  • 목록 답글 수정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