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제 목 : 2019 한국의 명가 창녕성씨 특별전 '문행지문, 사교를 세우다'

  • 대전시립박물관은 오는 20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대전방문의 해를 맞이해 ‘2019 한국의 명가 창녕성씨 특별전- 문행지문, 사교를 세우다’를 개최한다.

    한국의 명가전은 14년부터 진행하는 연속 전시로 한국의 명문가 중, 우리 지역과 연관성이 높은 문중을 선정해 문중 관련 다양한 자료를 통해 가문의 역사와 시대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열리고 있다.

    창녕성씨는 조선시대 ‘광창이성’으로 불리던 명문가로 영의정을 지낸 독곡 성석린, 인재 성희안 등 당대 저명한 정치가 뿐만 아니라 용재 성현과 청송 성수침, 우계 성흔 부자, 동주 성제원 등 당대의 문학과 학문으로 저명한 명현들을 다수 배출한 가문이다.

    또한, 두문동 72현의 한사람으로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킨 성사제, 단종 복위를 도모한 사육신 매죽헌 성상문, 생육신 문두 성담수 등 불사이군의 충신을 배출해 조선시대 충절과 효행을 대표하는 가문으로도 이름이 높다.

    이러한 창녕성씨는 성삼문의 단종 복위 사건 이후 성상문의 6촌 성담년의 후손들이 대전시 둔곡동과 세종시 달전리에 세거하기 시작했으며 문중의 재실이자 자제를 교육하는 공간인 백운루, 중종반정 공신 성몽정 신도비, 성삼문을 제향하는 문절사 등 많은 문화유산을 남기며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처럼 창녕 성씨 문중은 조선시대 명문가로 이름이 높았으며 대전과도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대전시립박물관은 ‘창녕성씨 특별전- 문행지문, 사교를 세우다’을 개최하게 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창녕성씨 관련 유물들을 한곳에 모아 문중의 역사와 시대 배경을 살펴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실물을 접하기 어려운 조선 초기 교지인 ‘성석린 고신왕지’를 비롯해 조선시대 명필로도 유명한 ‘성수침 필적’, 사육신 성삼문의 신주를 모셨던 무안박씨 요여 등을 비롯해 성시중 효행록, 적벽부도본 등 등 다양한 문중 관련 유물이 공개될 예정이다.

    개막행사는 오는 20일 오후 3시에 대전시립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며 전시는 2020년 3월 31일까지 열린다.


    2019년 12월 18일
    뉴스렙 이석만 기자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