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소주가씨(蘇州賈氏, 소성)
유래
시조 : 가유약(賈維鑰)
가씨는 본래 중국의 성씨로 요제(堯帝)가 그의 둘째 아들 공명(公明)을 가후에 봉했으므로 나라이름을 따라 성을 가씨로 하였다. 우리나라 가씨는 소주가씨 단본으로 시조 가유약(賈維鑰)의 자는 무편, 호는 지백당으로 명(明)나라 신종(神宗) 때 추밀원사(樞密院使), 병부상서(兵部尙書), 태자소부(太子少傅),문연각 태학사(文淵閣太學士: 북경의 궁중안에 있던 장서의 전각에 소속된 관직)를 지냈다. 문헌에 따르면 임진왜란이 난 이듬해인 1593년(선조 26년) 계요안찰사(薊療按察使)로 왕의 명을 받아 이여송(李如松), 마귀(麻貴) 등과 함께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 들어왔다. 그는 안주(安州) 등지에서 왜군과 싸워 공을 세우고 선조 29년까지 4년간 종군하고 돌아갔다. 그러나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유격장군(遊擊將軍)인 아들 가상(賈祥)과 병부종사관(兵部從事官)인 손자 가침(賈琛)을 데리고 다시 조선에 들어와 소사(素沙), 남원(南原)전투에서 큰 전공을 거두고, 1600년 부산(釜山) 포구에서 아들 가상과 함께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손자 가침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시신을 거두고 울산(蔚山) 서생진(西生鎭) 도독동(都督洞)에 무덤을 만들었다. 전쟁이 끝나서 명나라 원병이 본국으로 돌아갈 때 도독(道督) 마귀(麻貴)가 가침(賈琛)에게 함께 귀국할 것을 권유했으나, 그는 "조부(祖父)와 부친(父親)의 묘을 두고 어찌 이 곳을 떠나겠느냐" 하며 조선에 귀화하여 조상의 무덤이 있는 울산에 자리잡아 안동부사(安東府使) 권순(權純)의 딸과 혼인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 1647년(인조 25년) 가침(賈琛)이 죽자 슬하의 아들 가성(賈晟), 가호(賈昊), 가병(賈昺), 가수(賈遂) 4형제는 충남 서산으로 자리를 옮겨 소주가씨의 터전을 이루었다. 1851년(철종 2년)에는 시조 가유약(賈維鑰)과 아들 가상(賈祥), 손자 가침(賈琛) 3대의 충효를 기리는 사당(숭의사:崇義祠)과 정문(旌門)이 충남 태안군 남면 가씨(賈氏) 마을에 내려졌다. 그 후 가씨는 서산을 중심으로 한 충남 일대에서 충효의 전통을 이어오면서 가문이 크게 번성하였다. - 시조 가유약의 묘소는 경남 울산 서생진 도독동에 있다. 인물
가행건(賈行健)은 시조의 14세손으로 천성이 어질어 도덕군자의 칭송이 높았으며 헌종 때 수군병마첨절제사를 지냈다.
가행건의 아들 가일영(賈日永)은 철종 때 울진현령에 올랐다. 선정을 베풀어 그가 울진을 떠나올 때 군민들이 암벽을 갈아 그이 공적을 새겼다고 하는 "마애비(磨崖碑)"가 지금도 전한다. 가일영의 아우인 가중영(賈中永)은 철종 때 충량과(忠良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고종 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이외에도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했을 때 의병을 일으킨 14세손 가익건(賈翊健)과 구한말의 청백리 가정로(賈廷魯)도 알려진 인물들이다. 조선 헌종 때의 명신 가행건(賈行健). 그는 충청도 안흥양진의 수군병마첨절제사가 되었는데 안흥지방은 전복과 해삼이 지방 특산으로 궁중에 올리는 진상품이었다. 엄동설한에도 백성들은 차가운 바닷물에 드나들며 해삼, 전복을 따다 관가에 바쳐 서울로 올려야했다. 가행건은 이같은 민폐의 시정을 중앙에 강력히 건의해 영의정 김좌근(金左根)이 이를 받아들여 진상공납을 폐지, 백성들의 고달픔을 덜게했다. 훗날 고을주민들은 돌과 구리로 각각 비석을 세워 그 공적을 새겼다고 한다. 그도 아버지만큼 선정을 펴 그가 울진을 떠날 때 군민들은 10여길이나 되는 암벽을 갈아 그의 공적을 새겼다. 그 외 한말과 일제 침략기에 선조(先朝)의 뜻을 이어 나라에 충성한 인물로는 가의영(賈義永)과 가병준(賈秉俊)의 부자(父子)가 유명했다. 후덕하고 자선심이많기로 이름났던 이들 부자는 사재를 털어 가나한 이웃을 구제하는 등 사회사업에 공헌했으며, 호서(湖西) 일대의 한학자로 학명을 떨쳤던 가형로(賈衡魯)는 항일투재에 헌신하여 일본 경찰로부터 주목받는 대상이 되었다. 신.구(新舊)학문과 사학(史學)에 정통했던 가병준(賈秉峻)은 서산에 농림중학교를 설립하여 영재교육을 통한 광복운동과 농사개량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지대하여 면민이 송덕비를 세웠으며, 시조의 18세손 가재연(賈在衍)은 인천상고 재학시와 은행원 신분으로 항일투쟁에 앞장섰다가 옥고로 순국했다. 민족계몽 중 일본 헌병의 목을 베려 했던 가정로(賈晶魯 :시조의 17세손)와 사재를 털어 임시정부를 지원했던 가재창(賈在昌)도 애국애족의 정신으로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가정로(賈廷魯)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 예산, 서산, 공주의 군수를 지내며 한국민주행정의 기틀을 마련하여 충절의 전통가문인 소주가씨를 더욱 빛나게 하였다. 주요 인물
세거지
현재 충남 서산, 홍성, 당진, 예산 일대에 많이 거주한다.
그중에도 태안읍이 중심인데 입향조는 가침의 아들인 가성(賈晟)등 4형제. 그들은 가침이 세상을 뜬뒤 고국인 중국으로 돌아가고자 뱃길이 가까운 태안반도 안흥만에 도착했으나, 그때 중국은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는 난세이므로 결국 귀환을 포기하였다.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일원 - 충청남도 태안군 이원면 당산리 -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면 일원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중국(中國) 강소성(江蘇省)
소주(蘇州)는 중국 강소성(江蘇省) 남동부 태호(太湖) 동안(東岸)에 위치한 고장으로 옛 이름은 오현(吳縣)이며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일찍이 춘추전국 시대에 오(吳)나라의 국도(國都)로 발전하였고, 역대에 걸쳐 주변지역의 행정중심지로 알려진 곳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소주가씨는
1985년에는 1,733가구 7,623명, 2000년에는 2,812가구 9,02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79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