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신창맹씨(新昌孟氏)
유래
시조 : 맹자(孟子)
신창 맹씨의 시조는 맹자(孟子)이다. 우리나라 맹씨(孟氏)는 맹자(孟子)의 40세손 맹승훈(孟承訓)이 888년(신라 진성왕 2년) 당나라 한림원(翰林院)의 오경박사(五經博士)로 유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경전(經典)을 가지고 들어온 것이한 것이 시초가 된다고 하나 기록이 분명하지 않다. 고려 충렬왕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예부시랑(禮部侍郞)을 거쳐 예부전서(禮部典書)에 오른 맹의(孟儀)를 1세조로 하고 있다. 당시에 학자로서도 유명했던 맹의(儀)는 역신 조적의 난을 평정 하는데 공을 세우고 고려 충선왕 때 신창백(新昌伯)에 봉해진 연유로 본관을 신창으로 하게 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맹만택(孟萬澤, 1670 庚戌生) : 문과(文科) 숙종24년(1698) 춘당대시 병과(丙科)
맹세형(孟世衡, 1588 戊子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정시 을과(乙科) 맹주서(孟胄瑞, 1622 壬戌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식년시 을과(乙科) 맹양대(孟養大, 1738 戊午生) : 문과(文科) 순조1년(1801) 식년시 병과(丙科) 맹흠규(孟欽圭, 1735 乙卯生) : 문과(文科) 순조5년(1805) 별시 병과(丙科) 맹유룡(孟儒龍, 1717 丁酉生) : 문과(文科) 영조32년(1756) 식년시 병과(丙科) 맹양호(孟養浩, 1658 戊戌生) : 문과(文科) 숙종16년(1690) 식년시 병과(丙科) 맹도식(孟道植, 1806 丙寅生) : 문과(文科) 헌종12년(1846) 식년시 을과(乙科) 맹후성(孟後聖, 1652 壬辰生) : 문과(文科) 숙종22년(1696) 식년시 을과(乙科) 맹명순(孟明淳, 1777 丁酉生) : 문과(文科) 순조28년(1828) 식년시 을과(乙科) 등 모두 4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3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22명, 음양과 3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
신창(新昌)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굴직현(屈直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기량현(祁梁縣)으로 고쳐 온정군(溫井郡: 溫陽)에 속하게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신창을 신창현(新昌縣)으로 개칭하여,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하였다. 1018년(헌종 9)에 천안부(天安府)에 이속되어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그 후 조선에 와서는 태조가 만호(萬戶)를 없애고, 1414년(태종 14)에 온수현(溫水縣)과 합하여 온창(溫昌)이라 하였다가 신창현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으로 승격되어 홍주부 아산군, 1896년에 충청남도 아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아산군 학성면으로 개편되었으며, 1917년 지금의 아산군 신창면이 되었다. 1995년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신창맹씨는
1985년에는 3,930가구 16,465명, 2000년에는 5,631가구 18,14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9,97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