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문원길(文元吉)
시조 문원길(文元吉)의 선조는 원래 경주김씨(慶州金氏)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헌안왕자의 17세손 김세광이며, 중국에 들어가 글씨로 이름을 떨쳐서 문씨로 성을 하사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자식이 없어서 외손자가 성을 이었다고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문여량(文汝良) : 문과(文科) 세종11년(142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문근(文瑾, 1471 辛卯生) : 문과(文科) 연산군2년(1496) 식년시 병과(丙科)
문경동(文敬仝, 1457 丁丑生) : 문과(文科) 연산군1년(1495) 별시 병과(丙科)
문손관(文孫貫) : 문과(文科) 세종14년(1432)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문빈(文彬) : 문과(文科) 성종11년(1480) 식년시 병과(丙科)
문관(文瓘, 1475 乙未生)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증광시 을과(乙科)
문덕겸(文德謙, 1683 癸亥生) : 문과(文科) 숙종41년(1715) 식년시 병과(丙科)
문명개(文命凱) : 문과(文科) 선조1년(1567) 증광시 병과(丙科)
문헌(文獻) : 문과(文科) 태종2년(1402)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문경동(文敬仝, 1457 丁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성종17년(1486) 식년시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명, 생원진사시 2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
감천(甘泉)은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 동북부에 속한 지명으로 삼국시대 이래 감천현(甘泉縣)이라 불렀으며,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안동부(安東府)의 속현이 되어 월경지(越境地)로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으로 예천군에 편입되면서 감천면(甘泉面)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감천문씨는
1985년에는 2,838가구 12,703명, 2000년에는 1,367가구 4,38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7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