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개령문씨(開寧文氏)
    유래
     시조 : 문세욱(文世郁)
    시조 문세욱(文世郁)은 고려에서 齋郞(參奉)을 지냈다고 한다. 문헌이 없으므로 세계(世系)나 본관의 유래 등은 알 수 없다. 다만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개령(開寧)을 본관으로 삼아 대를 이어왔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개령문씨는 병사(兵使) 문귀지(文貴之)의 후손이며 진사(進士) 문토빈(文土彬)을 일파로 전한다고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문승수(文承洙, 1525 乙酉生) : 문과(文科) 선조6년(1573) 식년시 병과(丙科)
     문명구(文命龜,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병과(丙科)
     문덕교(文德敎, 1551 辛亥生) : 문과(文科) 선조18년(1585) 식년시 을과(乙科)
     문승사(文承泗, 1539 己亥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식년시 병과(丙科)
     문득경(文得慶,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문덕교(文德敎, 1551 辛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6년(1573) 식년시 이등(二等)
     문승수(文承洙, 1525 乙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6년(1561) 식년시 이등(二等)
     문승사(文承泗, 153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년(1570) 식년시 삼등(三等)
     문태현(文台鉉, 1601 辛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7년(1639) 식년시 일등(一等)
     문덕관(文德觀, 168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1년(1715)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0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김천
    개령(開寧)은 현재 경상북도 김천(金泉)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삼한시대에는 감문국(甘文國)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231년(신라 조분왕 2)에 신라가 감문국을 공격하여 병합하여 감문군을 설치하였다. 557년(진흥왕 18)에 감문주(甘文州)를 설치하였다가 백제를 정벌한 후 661년(문무왕 1) 감문군을 정비하였다. 687년(신문왕 7)에는 개령군으로 고쳐 사벌주(沙伐州: 757년 상주로 개칭)의 속현이 되었고 감물현(甘勿縣: 禦侮縣)·지품천현(知品川縣: 知禮縣)·무산현(茂山縣: 茂豊縣)·김산현(金山縣) 등을 관할로 두었다. 1172년(고려 명종 2)까지 상주(尙州)에 속해 있다가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6년(태종 16)에는 개령현으로 격하되었고, 1598년(선조 31)에는 반란을 꾀하던 자의 고향이라 하여 폐현되었다가, 1609년(광해군 1)에 유림의 상소로 복현되었다. 1896년 지방관제 개혁으로 개령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개령·김산·지례와 성주의 일부를 김천군으로 통합하면서 개령군에 속했던 부곡면과 서면이 개령면으로 통합되었다. 김천은 1949년 김천시로 승격되고, 김천군은 금릉군(金陵郡)으로 개편되었다가, 1995년 금릉군을 병합하여 김천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개령문씨는
    1985년에는 32가구 150명, 2000년에는 132가구 43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5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