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남평문씨(南平文氏)
    유래
     시조 : 문다성(文多省)
    시조 문다성(文多省)은 신라 자비왕(20대)때의 사람으로 문다성의 출생에 대한 전설이 전해 온다. 남평현(전남 나주군 남평면)에 장자지라는 연못가에 큰 바위가 있다. 472년(신라 자비왕 15년) 2월에 군주가 바위 아래에서 놀고 있는데 그 바위 위에서 오색기운이 감돌면서 갓난 아이의 울음 소리가 들려왔다. 이상하게 여긴 군주가 사다리를 가져오게 하여 올라가 보니 돌로된 함안에 피부가 백설같이 맑고 용모가 아름다운 갓난 아이가 있었다. 그래서 군주가 데려다 키웠는데 5살에 글을 저절로 깨우치고 무략이 뛰어나며 사물의 이치를 스스로 깨닫는 등 총기가 있어 성을 문이라고 하고 이름을 다성 이라고 했다(돌로된 함에 '문'자가 새겨져있어 성을 문이라고 했다고도 한다.).
    그후 500년(지증왕1년)에 중시아랑이 되고, 540년(진흥왕1년)에 대국사, 577년 (진지왕2년)에 대아랑 대국사가 되었다.
    지금도 나주군 남평면에 장자지라는 연못과 6미터쯤되는 바위가 있고 바위위에 '문암,이라는 비석을 세워 놓아 문씨 시조의 탄생지임을 말해주고 있다. 장자지는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시조의 묘소는 전남 나주군 남평면 덕용산 능사동에 있었으나 없어졌다.
     장자못가에 있는 장연서원에서 매년 음력 9월에 향사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문덕린(文德麟, 1673 癸丑生) : 문과(文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병과(丙科)
     문계창(文繼昌)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별시 이등(二等)
     문서구(文瑞龜) : 문과(文科) 중종6년(1511) 별시 병과(丙科)
     문극효(文極孝, 1745 乙丑生) : 문과(文科) 정조7년(1783) 식년시 을과(乙科)
     문익성(文益成) : 문과(文科) 명종21년(1566) 중시 병과(丙科)
     문재중(文在中, 1682 壬戌生) : 문과(文科) 숙종41년(1715) 식년시 병과(丙科)
     문여(文勵) : 문과(文科) 선조22년(1589) 증광시 병과(丙科)
     문유장(文有章, 1625 乙丑生) : 문과(文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병과(丙科)
     문형중(文衡中, 1717 丁酉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병과(丙科)
     문행(文行, 1549 己酉生) : 문과(文科) 선조13년(1580)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3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6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80명, 역과 4명, 음양과 1명, 율과 1명, 주학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2世
    호(鎬)
    현(鉉)
    흠(欽)
    33世
    제(濟)
    승(承)
    홍(鴻)
    34世
    식(植)
    모(模)
    상(相)
    35世
    희(熙)
    형(炯)
    병(炳)
    36世
    주(周)
    기(基)
    균(均)
    37世
    종(鍾)
    용(鎔)
    동(?)
    38世
    영(泳)
    수(洙)
    흡(洽)
    39世
    동(東)
    학(學)
    환(桓)
    40世
    노(魯)
    섭(燮)
    훈(勳)
    41世
    재(在)
    시(時)
    규(圭)
    42世
    선(銑)
    일(鎰)
    석(錫)
    43世
    택(澤)
    태(泰)
    해(海)
    44世
    표(杓)
    근(根)
    목(穆)
    45世
    -
    46世
    -
    47世
    -
    48世
    -
    49世
    -
    50世
    -
    51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3世孫은 32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남평(南平)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산포(山浦)·금천(金川)·봉황면(鳳凰面) 등 동부지역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의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지역이었는데,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뒤에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을 두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현웅현(玄雄縣)으로 고쳐 무주(武州: 光州)에 속하게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남평군(南平郡: 永平郡)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에 나주목의 관할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어 독립했으나, 1390년(공양왕 2) 화순감무가 겸하여 통치하였다가 1399년에는 다시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으로 남평현이 되었다. 오산(烏山)으로도 불리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남평군으로 나주부 소속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의 관할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평군이 폐지되어 나주군(羅州郡)에 통합되고 1995년 통합 나주시가 되면서 나주시 남평면(南平面)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남평문씨는
    1985년에는 82,069가구 343,700명, 2000년에는 118,491가구 380,53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45,94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