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여흥민씨(驪興閔氏, 여주)
유래
시조 : 민칭도(閔稱道)
민씨는 중국 농서현(감숙성 난산도) 출신의 성씨로 공자의 10제자 중의 한명인 자건(閔損, 자는 자건, 노나라 현인)의 후손이 시조 민칭도(閔稱道)가 고려 중엽에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하여 여흥(경기도 여주)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민칭도(閔稱道)는 고려때 벼슬을 했으며 고려 충숙왕(27대)때에 수정승을 지낸 학자인 민지를 시조로하는 '문인공파'와 같은 시기에 대제학을 지낸 민적을 시조로하는 '문순공파'로 나뉘어 진다. 인물
민칭도(閔稱道)의 증손 민영모(閔令謨)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을 지내고 명종이 즉위하자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벼슬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거쳐 태자 태사(太子太師)에 이르렀고, 신종 때 형부 상서(刑部尙書)에 오른 아들 민식(閔湜)과 판병부사(判兵部事)와 태자 소보(太子小保)를 지낸 민공규(閔公珪) 형제를 낳아 가문의 양대 산맥을 이루어 가세를 크게 일으켰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민덕봉(閔德鳳, 1514 甲戌生) : 문과(文科) 명종15년(156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시중(閔時中, 1519 己卯生) : 문과(文科) 명종4년(154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우(閔愚, 1597 丁酉生) : 문과(文科) 인조9년(1631)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정중(閔鼎重, 1628 戊辰生) : 문과(文科) 인조27년(1649)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주면(閔周冕, 1629 己巳生) : 문과(文科) 효종4년(165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인백(閔仁伯, 1552 壬子生) : 문과(文科) 선조17년(158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중로(閔重魯, 1624 甲子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이(閔○, 1455 乙亥生) : 문과(文科) 성종17년(1486)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광훈(閔光勳,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인조6년(1628)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유부(閔有孚,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73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34명, 무과 27명, 생원진사시 465명, 역과 5명, 음양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여흥(驪興)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흥민씨는
1985년에는 32,858가구 137,317명, 2000년에는 43,887가구 142,57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9,52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