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여흥민씨(驪興閔氏, 여주)
    유래
     시조 : 민칭도(閔稱道)
    민씨는 중국 농서현(감숙성 난산도) 출신의 성씨로 공자의 10제자 중의 한명인 자건(閔損, 자는 자건, 노나라 현인)의 후손이 시조 민칭도(閔稱道)가 고려 중엽에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하여 여흥(경기도 여주)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민칭도(閔稱道)는 고려때 벼슬을 했으며 고려 충숙왕(27대)때에 수정승을 지낸 학자인 민지를 시조로하는 '문인공파'와 같은 시기에 대제학을 지낸 민적을 시조로하는 '문순공파'로 나뉘어 진다.
    인물
    민칭도(閔稱道)의 증손 민영모(閔令謨)가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을 지내고 명종이 즉위하자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벼슬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거쳐 태자 태사(太子太師)에 이르렀고, 신종 때 형부 상서(刑部尙書)에 오른 아들 민식(閔湜)과 판병부사(判兵部事)와 태자 소보(太子小保)를 지낸 민공규(閔公珪) 형제를 낳아 가문의 양대 산맥을 이루어 가세를 크게 일으켰다.
    주요 인물
    민영익(閔泳翊)민영환(閔泳煥)명성황후(明成皇后)민개(閔開)민겸호(閔謙鎬)
    민경기(閔慶基)민경식(閔京植)민계(閔堦)민광숙(閔光熽)민광혁(閔光爀)
    민광훈(閔光勳)민규호(閔奎鎬)민긍식(閔肯植)민긍호(閔肯鎬)민기(閔機)
    민기(閔箕)민기문(閔起文)민기세(閔箕世)민기현(閔耆顯)민덕봉(閔德鳳)
    민두호(閔斗鎬)민명혁(閔命爀)민몽룡(閔夢龍)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
    민무회(閔無悔)민무휼(閔無恤)민발(閔發)민백상(閔百祥)민백창(閔百昌)
    민백충(閔百忠)민백행(閔百行)민백흥(閔百興)민병기(閔丙岐)민병석(閔丙奭)
    민병한(閔丙漢)민사평(閔思平)민상안(閔祥安)민상정(閔祥正)민상호(閔商鎬)
    민선(閔善)민선(閔璿)민성(閔垶)민성호(閔成鎬)민성휘(閔聖徽)
    민세량(閔世良)민세정(閔世貞)민수(閔粹)민수언(閔洙彦)민수천(閔壽千)
    민순(閔純)민승룡(閔升龍)민승호(閔升鎬)민시중(閔時中)민시중(閔蓍重)
    민식(閔湜)민신(閔伸)민심민안부(閔安富)민안인(閔安仁)
    민암(閔黯)민언량(閔彦良)민업(閔嶪)민여검(閔汝儉)민여경(閔汝慶)
    민여로(閔汝老)민여신(閔汝信)민여운(閔汝雲)민여익(閔汝翼)민여임(閔汝任)
    민영(閔瑛)민영국(閔泳國)민영규(閔泳奎)민영기(閔泳綺)민영달(閔泳達)
    민영돈(閔泳敦)민영린(閔泳璘)민영모(閔令謨)민영목(閔泳穆)민영소(閔泳韶)
    민영위(閔泳緯)민영주(閔泳柱)민영찬(閔泳瓚)민영철(閔泳喆)민영휘(閔泳徽)
    민용호(閔龍鎬)민우수(閔遇洙)민욱(閔昱)민원(閔瑗)민원(閔瑗)
    민유경(閔有慶)민유부(閔有孚)민유중(閔維重)민응기(閔應祺)민응수(閔應洙)
    민응식(閔應植)민응협(閔應協)민응형(閔應亨)민응회(閔應恢)민이(閔頤)
    민이승(閔以升)민이현(閔彝顯)민익수(閔翼洙)민인백(閔仁伯)민장도(閔章道)
    민적(閔頔)민전(閔荃)민점(閔點)민정(閔珽)민정(閔貞)
    민정식(閔正植)민정중(閔鼎重)민제(閔霽)민제인(閔齊仁)민제장(閔濟章)
    민종도(閔宗道)민종렬(閔鍾烈)민종묵(閔種默)민종식(閔宗植)민종유(閔宗儒)
    민종혁(閔宗爀)민종현(閔鍾顯)민주면(閔周冕)민주현(閔胄顯)민준(閔濬)
    민지(閔漬)민진동(閔鎭東)민진량(閔晉亮)민진원(閔鎭遠)민진장(閔鎭長)
    민진주(閔鎭周)민진형(閔震炯)민진후(閔鎭厚)민창도(閔昌道)민창식(閔昌植)
    민창윤(閔昌胤)민천부(閔天符)민철훈(閔哲勳)민충남(閔忠男)민충원(閔忠元)
    민취도(閔就道)민치구(閔致久)민치록(閔致祿)민치복(閔致福)민치상(閔致庠)
    민치헌(閔致憲)민치홍(閔致鴻)민태식(閔泰植)민태중(閔泰重)민태혁(閔台爀)
    민태호(閔台鎬)민택수(閔宅洙)민통수(閔通洙)민필호(閔弼鎬)민항렬(閔恒烈)
    민형남(閔馨男)민형수(閔亨洙)민형식(閔炯植)민형식(閔衡植)민호(閔頀)
    민회삼(閔懷參)민회현(閔懷賢)민효식(閔孝植)민효열(閔孝悅)민효증(閔孝曾)
    민훤(閔萱)민흥도(閔興道)민희(閔曦)민희(閔熙)관식(慣拭)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여흥부대부인민씨(驪興府大夫人閔氏)원경왕후(元敬王后)응윤(應允)인현왕후(仁顯王后)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민덕봉(閔德鳳, 1514 甲戌生) : 문과(文科) 명종15년(156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시중(閔時中, 1519 己卯生) : 문과(文科) 명종4년(154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우(閔愚, 1597 丁酉生) : 문과(文科) 인조9년(1631)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정중(閔鼎重, 1628 戊辰生) : 문과(文科) 인조27년(1649)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주면(閔周冕, 1629 己巳生) : 문과(文科) 효종4년(165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인백(閔仁伯, 1552 壬子生) : 문과(文科) 선조17년(158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중로(閔重魯, 1624 甲子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이(閔○, 1455 乙亥生) : 문과(文科) 성종17년(1486)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광훈(閔光勳,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인조6년(1628)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민유부(閔有孚,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73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34명, 무과 27명, 생원진사시 465명, 역과 5명, 음양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4世
    백(白)
    25世
    혁(赫)
    현(顯)
    26世
    치(致)
    27世
    호(鎬)
    용(鏞)
    28世
    영(泳)
    29世
    식(植)
    30世
    병(丙)
    31世
    기(基)
    규(圭)
    배(培)
    32世
    경(庚)
    33世
    홍(泓)
    원(源)
    34世
    동(東)
    35世
    희(熙)
    36世
    형(馨)
    재(在)
    37世
    석(錫)
    38世
    준(準)
    39世
    권(權)
    40世
    용(容)
    41世
    범(範)
    42世
    선(善)
    43世
    순(淳)
    44世
    상(相)
    45世
    영(榮)
    46世
    원(遠)
    47世
    종(鍾)
    48世
    태(泰)
    49世
    주(柱)
    50世
    양(陽)
    51世
    -
    52世
    -
    53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5世孫은 24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여흥(驪興)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흥민씨는
    1985년에는 32,858가구 137,317명, 2000년에는 43,887가구 142,57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9,52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