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경주박씨(慶州朴氏, 월성)
    유래
    경주박씨(慶州朴氏, 월성)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인환(朴寅煥, 1866 丙寅生) : 문과(文科) 고종17년(1880)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경립(朴敬立, 1571 辛未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병과(丙科)
     박대익(朴大益) : 문과(文科) 광해군13년(1621) 별시 병과(丙科)
     박간(朴幹) : 문과(文科) 태종16년(1416) 친시 을과(乙科)
     박대익(朴大益, 1593 癸巳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개시 병과(丙科)
     박호겸(朴好謙) : 문과(文科) 연산군2년(1496) 식년시 병과(丙科)
     박대승(朴大昇, 1615 乙卯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박운명(朴云明,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을생(朴乙生,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정석(朴廷錫, 1649 己丑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3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무과 19명, 생원진사시 1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
    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 국호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 시조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으로 사용하였다.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고 충렬왕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로 개칭한 이후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으며,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과 통합하여 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경주박씨는
    1985년에는 4,861가구 21,815명, 2000년에는 6,849가구 21,60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2,26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