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고령박씨(高靈朴氏)
유래
시조 : 박언성(朴彦成)
시조 박언성(고양대군)은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둘째 아들로서 본관은 고양과 영천 두 지명을 합하여 고령이라고 하게 되었다. 박섬(朴暹), 박환(朴還), 박연(朴連)을 중시조로 하는 3파가 있으며, 3파 중에서도 박섬의 사인공파(舍人公派)와 박환의 부창정공파(副倉正公派)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다. 인물
- 사인공파에는 박은(誾), 박장원(長遠), 박문수(文秀), 박상신(相臣), 박영원(永元) 등이 있고,
- 부창정공파에는 박광순(光純), 박광우(光佑), 박우생(雨生), 박임종(林宗), 박만(蔓), 박처륜(處綸), 박영준(永俊), 박난영(蘭英), 박정번(廷) 등이 있다. - 박정희(朴正熙) : 5~9대 대통령 - 박근혜(朴槿惠) : 18대 대통령 조선시대에 56명의 문과 급제자, 1명의 상신, 4명의 청백리를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장원(朴長遠, 1612 壬子生) : 문과(文科) 인조14년(1636) 별시 을과(乙科)
박신규(朴臣圭, 1801 辛酉生) : 문과(文科) 철종6년(1855) 별시 병과(丙科) 박만항(朴萬恒,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21년(1695) 별시2 을과(乙科) 박자영(朴自英) : 문과(文科) 중종29년(1534) 식년시 병과(丙科) 박정(朴○, 1600 庚子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증광시 병과(丙科) 박영원(朴永元, 1791 辛亥生) : 문과(文科) 순조16년(1816) 식년시 병과(丙科) 박민수(朴敏樹, 1792 壬子生) : 문과(文科) 순조27년(1827) 정시 병과(丙科) 박종윤(朴宗胤, 1594 甲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7년(1615) 식년시 병과(丙科) 박공순(朴恭順) : 문과(文科) 세종20년(1438) 식년시 정과(丁科) 박재순(朴載淳, 1737 丁巳生) : 문과(文科) 정조7년(1783)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2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7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147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고령
고령(高靈)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대가야국의 중심지로 이진아고왕(伊珍阿鼓王: 內珍朱智)으로부터 도설지왕(道設智王)까지 16대 520년간을 계승해 오다가 562년(신라 진흥왕 23) 신라에 병합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고양군(高陽郡)으로 강주(康州: 晉州)의 관할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영천현(靈川縣)으로 개편되어 경산부(京山府: 星州)에 속하게 되었다. 1175년(명종 5)에 감무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에 고양군과 영천현을 고령현(高靈縣)으로 병합하고, 1895년(고종 32) 지방재정 개정으로 성주군(星州郡)과 현풍군(玄風郡)의 일부를 통합한 고령군이 되었다. 1975년 고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령박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2,301가구 39,23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3,77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