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고성박씨(固城朴氏, 철성)
    유래
     시조 : 박서(朴犀)
    시조 박서(朴犀)는 신라 경명왕의 넷째 아들 죽성대군(竹城大君) 박언립(朴彦立)의 11세손이다. 1231년(고려 고종 18) 8월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 있을 때 몽골 장수 살리타이(撤禮塔)가 쳐들어와 철주(鐵州)를 함락하고 이어 귀주(龜州)를 공격할 때 공을 세웠다.

    박서의 현손 박혁충(朴奕忠)이 이조전서(吏曹典書), 한림원시강(翰林院侍講), 태자첨사(太子詹事)를 지냈고 박서의 행장(行狀)과 사적(事蹟)을 갖추어 조정에 제출하여 그 공적이 높이 평가되자 평장사(平章事)에 추증되고 철성백(鐵城伯 : 철성은 고성의 옛 지명)에 추봉되었으며 박혁충을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하였다. 그래서 후손들이 죽산박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고성으로 하였다.
    인물
    박보로(普老) : 박빈의 손자. 고려 우왕 때 수차에 걸쳐 왜구를 격퇴하고 문하평리, 서북면도체찰사를 역임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내경(朴來慶, 1642 壬午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식년시 병과(丙科)
     박사혁(朴師赫, 1743 癸亥生) : 문과(文科) 영조47년(1771) 식년시 병과(丙科)
     박정검(朴廷儉, 1765 乙酉生) : 문과(文科) 정조19년(1795) 식년시 을과(乙科)
     박지영(朴之英, 1645 乙酉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박응정(朴應禎, 1581 辛巳生) : 무과(武科) 인조2년(1624) 증광시 병과(丙科)
     박지해(朴之海, 1641 辛巳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박몽서(朴夢瑞,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박성달(朴成達, 1662 壬寅生) : 무과(武科) 숙종12년(1686) 별시 병과(丙科)
     박욱(朴郁, 1527 丁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9년(1564) 식년시 이등(二等)
     박용덕(朴用德, 1795 乙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8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2世
    임(林)
    무(茂)
    성(性)
    23世
    상(尙)
    24世
    기(基)
    25世
    진(鎭)
    26世
    수(洙)
    27世
    상(相)
    28世
    욱(煜)
    환(煥)
    29世
    규(圭)
    재(在)
    30世
    석(錫)
    호(鎬)
    31世
    홍(洪)
    해(海)
    32世
    근(根)
    33世
    병(炳)
    34世
    -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3世孫은 22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고성
    고성(固城)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변한시대에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또는 고사포국(古史浦國)이었다. 737년(신라 효성왕 1)에 신라에 흡수되어 고자군(古自郡)으로 불리우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고성군(固城郡)으로 바뀌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고주(固州)로 확장되었고 후에 철성부(鐵城府)로 승격되었다가, 1018년(현종 9) 고성현으로 강등되었다. 1266년(세조 3) 지주사(知州事)로 승격되었으며, 공민왕 때 현령을 파견한 후 지속되었다. 1604년(선조 37) 거제현에 있던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거제현 두룡포(지금 統營)로 이전하였다가 두룡포가 1617년(광해군 9) 고성현으로 이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고성군이 되었다. 1896년 13도제 실시로 경상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용남군의 동해면이 편입되었다. 1938년 고성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성박씨는
    1985년에는 1,004가구 4,428명, 2000년에는 1,242가구 3,91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13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