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나주박씨(羅州朴氏)
유래
시조 : 박병묵(朴炳默)
시조 박병묵(朴炳默, 시호는 충무)은 고려때에 평장사를 지냈으나 그의 선조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박병묵은 나주에 오래동안 살아온 선비집안이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나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재시(朴載時,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5년(1679) 식년시 병과(丙科)
박홍준(朴弘儁, 1704 甲申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증광시 병과(丙科) 박신(朴愼, 1576 丙子生) : 문과(文科) 광해군3년(1611) 별시 을과(乙科) 박영훈(朴泳薰, 1848 戊申生) : 문과(文科) 고종16년(1879) 별시 병과(丙科) 박사륜(朴師崙,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영조39년(1763) 증광시 병과(丙科) 박민고(朴敏古, 1680 庚申生) : 문과(文科) 숙종41년(1715) 식년시 병과(丙科) 박상래(朴相來, 1746 丙寅生) : 문과(文科) 영조46년(1770) 정시 병과(丙科) 박영훈(朴泳薰, 1848 戊申生) : 문과(文科) 고종17년(1880) 증광시 병과(丙科) 박재원(朴在源, 1723 癸卯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식년시 을과(乙科) 박제일(朴齊一, 1775 乙未生) : 문과(文科) 순조16년(1816)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3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1명, 무과 30명, 생원진사시 163명, 역과 3명, 의과 4명, 율과 2명, 주학 17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나주(羅州)는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지역으로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리었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나주박씨는
1985년에는 743가구 3,719명, 2000년에는 1,010가구 3,37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47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