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면천박씨(沔川朴氏)
    유래
     시조 : 박득의(朴得宜)
    시조 박득의(朴得宜)는 신라 파사왕의 24세손으로 고려의 삼중대광 대승이다. 그의 아들 박술희(朴述希)가 고려 태조를 도와 936년(태조 19) 후백제를 친공으로 개국공신에 올랐으며 왕이 죽을 때 군국대사를 부탁받고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전수받았다. 그가 면천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면천으로 하였다. 그러나 후손들의 기록은 없어서 박계(朴桂)를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인물
    박계의 증손 박인호(仁護)는 대장군, 6대손 박대부(大富)는 공부상서를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삼길(朴三吉, 1442 壬戌生) : 문과(文科) 성종5년(1474) 식년시 을과(乙科)
     박경민(朴慶敏, 173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1년(1765) 식년시 이등(二等)
     박무욱(朴武郁)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7년(1522) 식년시 삼등(三等)
     박동도(朴東道, 1653 癸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5년(1679) 식년시 이등(二等)
     박상기(朴相基, 180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5년(1849) 식년시 삼등(三等)
     박능사(朴能泗, 186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9世
    동(洞)
    30世
    우(愚)
    31世
    배(培)
    32世
    종(鍾)
    33世
    태(泰)
    34世
    근(根)
    35世
    회(會)
    36世
    철(喆)
    37世
    진(鎭)
    38世
    원(源)
    39世
    식(植)
    40世
    형(炯)
    41世
    규(奎)
    42世
    민(敏)
    43世
    수(洙)
    44世
    인(仁)
    45世
    환(煥)
    46世
    신(信)
    47世
    -
    48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0世孫은 2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당진
    면천(沔川)은 충청남도 당진군(唐津郡) 면천면 일대를 지칭하던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혜산군(槥山郡)이라 불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혜성군(槥城郡)으로 개칭하였고, 당진현(唐津縣)·여읍현(餘邑縣)·신평현(新平縣)을 관할하였고 혜성군은 웅주(熊州: 公州)의 영현으로 개편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운주(運州: 洪州의 옛 지명)에 속하였다가 1106년(예종 1)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293년(충렬왕 19)에는 면주(沔州)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23)에 와서 면천군(沔川郡)으로 개칭되었다. 별호로 마산(馬山)·해종(海宗)이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에 소속되었다가 1896년 충청남도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면천군은 당진군(唐津郡)으로 폐합되었다. 1917년 면천군의 일부였던 마암면이 면천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면천박씨는
    1985년에는 966가구 4,100명, 2000년에는 1,241가구 3,98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32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