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무안박씨(務安朴氏)
유래
시조 : 박진승(朴進昇)
무안박씨의 시조 박진승(朴進昇)은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여섯째 아들인 박언화(완산대군)의 9대손이다. 그는 벼슬이 국자제주에 이르고 고려 초에 공을 세워 무안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정착하여 살면서 본관을 무안으로 하였다. 인물
고려시대의 박승중(朴昇中), 조선시대의 박의장(朴毅長), 박홍장(朴弘長), 박창하(朴昌夏), 박호(朴浩) 등이 있고,
현대인물로는 한글 점자(點字)의 창안자인 박두성(朴斗星)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혼원(朴渾元) : 문과(文科) 명종10년(1555) 식년시 병과(丙科)
박전(朴全) : 문과(文科) 명종1년(1546) 증광시 병과(丙科) 박간(朴○, 1560 庚申生) : 문과(文科) 광해군2년(1610) 식년시 병과(丙科) 박돈복(朴敦復, 1584 甲申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병과(丙科) 박선장(朴善長, 1555 乙卯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병과(丙科) 박도욱(朴道郁, 1681 辛酉生) : 문과(文科) 영조4년(1728) 별시2 병과(丙科) 박안복(朴安復, 1601 辛丑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식년시 갑과(甲科) 박징(朴澄, 1648 戊子生) : 문과(文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박원눌(朴元訥)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별시 병과(丙科) 박이문(朴履文, 1675 乙卯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15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2명, 무과 24명, 생원진사시 72명, 역과 24명, 의과 13명, 음양과 1명, 주학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무안
무안(務安)은 전라남도 무안군 일대에 위치한 지명으로 백제 때 물아혜군(勿阿兮郡)이라 불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무안군(務安郡)으로 개칭하였고 함풍(咸豊)·다기(多岐)·해제(海際)·진도(珍島) 등의 영현(領縣)을 관할하였다. 944년(고려 혜종 1) 물량군(勿良郡)으로 고쳤으며, 991(성종 10)에는 다시 무안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나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성산극포권농방어사(城山極浦勸農防禦使)를 겸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무안현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면천(綿川)·면성(綿城)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었으며 1897년 무안부(務安府)로 승격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목포부(木浦府)를 독립시키고 나머지 지방은 무안군이 되었다. 1957년에 면성면이 무안면으로 개칭되고, 1979년 무안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에 일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에 망운면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무안박씨는
1985년에는 15,742가구 64,698명, 2000년에는 24,746가구 78,81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0,78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