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밀양박씨(密陽朴氏)
    유래
     시조 : 박언침(朴彦枕)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첫째 아들 박언침이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밀양(밀성)으로 하였다. 밀양박씨는 모든 박씨 가운데 제일 종가이며 밀양박씨에서 10여 개의 본관으로 나뉘어 지고, 밀양박씨 내에서도 여러개로 분파되었으며 , 이들은 또 여러파로 다시 나뉘어져서 전체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밀양박씨는 본관별 인구에서 김해김씨(가락)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주요 인물
    박두병(朴斗秉)박명련(朴命蓮)박서보(朴栖甫)박연(朴堧)박은식(朴殷植)
    박의병(朴義秉)박인천(朴仁天)박인환(朴寅煥)박제가(朴齊家)박태준(朴泰俊)
    박강생(朴剛生)박거겸(朴居謙)박건(朴楗)박경락(朴京洛)박경전(朴慶傳)
    박경지(朴敬祉)박계주(朴啓周)박계현(朴啓賢)박관수(朴寬洙)박광영(朴光榮)
    박권(朴權)박규순(朴奎淳)박근원(朴謹元)박기준(朴基駿)박기출(朴己出)
    박기풍(朴基豊)박기호(朴基鎬)박길응(朴吉應)박내오(朴來吾)박내원(朴來源)
    박노식(朴魯植)박대덕(朴大德)박대륜(朴大輪)박도경(朴道京)박도상(朴道翔)
    박돈(朴潡)박동규(朴東奎)박동식(朴東植)박로(朴𥶇)박마리아(朴瑪利亞)
    박만정(朴萬鼎)박문건(朴文健)박문수(朴文秀)박문일(朴文一)박미(朴楣)
    박봉령(朴鳳齡)박상진(朴尙鎭)박서(朴遾)박서(朴瑞)박선(朴璿)
    박성(朴惺)박성석(朴星錫)박성원(朴聖源)박세중(朴世重)박세증(朴世拯)
    박세화(朴世和)박소영(朴紹榮)박수일(朴遂一)박수춘(朴壽春)박수홍(朴守弘)
    박술음(朴術音)박숭원(朴崇元)박승건(朴承健)박승종(朴承宗)박승휘(朴承煇)
    박승휴(朴承休)박시창(朴始昌)박신규(朴信圭)박신생(朴信生)박신원(朴新源)
    박심문(朴審問)박안기(朴安期)박안제(朴安悌)박안행(朴安行)박안현(朴顔賢)
    박연백(朴淵伯)박열(朴說)박영(朴英)박영규(朴靈圭)박영신(朴榮臣)
    박용기(朴鏞蘷)박용녀(朴龍女)박용대(朴容大)박용래(朴龍來)박용화(朴鏞和)
    박운(朴雲)박위(朴葳)박유성(朴維城)박윤묵(朴允墨)박융(朴融)
    박은춘(朴殷春)박응수(朴應秀)박의(朴義)박의영(朴義榮)박의중(朴宜中)
    박이서(朴彝敍)박이환(朴駬桓)박익(朴翊)박인(朴忍)박인국(朴仁國)
    박인로(朴仁老)박인복(朴麟福)박인섭(朴寅燮)박인호(朴寅浩)박임항(朴林恒)
    박자응(朴自凝)박자흥(朴自興)박장설(朴長卨)박재규(朴在奎)박정(朴涏)
    박정길(朴鼎吉)박정로(朴廷老)박정현(朴鼎賢)박종남(朴宗男)박준동(朴準東)
    박중빈(朴重彬)박중손(朴仲孫)박증영(朴增榮)박증휘(朴增輝)박지(朴贄)
    박지병(朴之屛)박지서(朴旨瑞)박진(朴晉)박진규(朴鎭圭)박진영(朴震英)
    박진원(朴震元)박창우(朴昌宇)박창원(朴昌元)박창화(朴昌和)박춘무(朴春茂)
    박춘성(朴春成)박충식(朴忠植)박충원(朴忠元)박치화(朴致和)박필정(朴弼正)
    박하담(朴河淡)박한주(朴漢柱)박해정(朴海楨)박헌봉(朴憲鳳)박형래(朴馨來)
    박호(朴箎)박호원(朴好元)박홍신(朴弘信)박화성(朴花城)박효남(朴孝男)
    박효정(朴孝正)박훈(朴薰)박흥남(朴興男)박흥생(朴興生)박희광(朴喜光)
    박희범(朴喜範)박희현(朴希賢)경빈박씨(敬嬪朴氏)경화(敬和)세찰(世察)
    우평(宇平)최눌(最訥)태선(太先)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안제(朴安悌, 1590 庚寅生) : 문과(文科) 광해군13년(162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진량(朴震亮, 1682 壬戌生) : 문과(文科) 숙종41년(171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내만(朴來萬, 1804 甲子生) : 문과(文科) 헌종2년(1836)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호(朴○, 1567 丁卯生) : 문과(文科) 선조17년(1584) 친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문원(朴聞遠, 1742 壬戌生) : 문과(文科) 정조6년(1782) 함경도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첨(朴○, 1685 乙丑生) : 문과(文科) 영조9년(1733)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한규(朴漢奎, 1732 壬子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대후(朴大厚, 1694 甲戌生) : 문과(文科) 영조4년(1728)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문효(朴文孝) : 문과(文科) 성종7년(1476) 별시 을과(乙科)
     박정길(朴鼎吉, 1583 癸未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중시 을과(乙科)
    등 모두 163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57명, 무과 452명, 생원진사시 759명, 역과 75명, 의과 43명, 음양과 19명, 율과 25명, 주학 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규정공파
    24世
    노(魯)
    성(性)
    병(炳)
    25世
    재(在)
    신(信)
    규(圭)
    26世
    용(鏞)
    상(商)
    종(鍾)
    27世
    호(浩)
    수(洙)
    순(淳)
    28世
    인(仁)
    주(柱)
    상(相)
    29世
    열(烈)
    용(容)
    희(熙)
    30世
    중(重)
    시(時)
    준(俊)
    31世
    호(鎬)
    흠(欽)
    구(九)
    32世
    해(海)
    윤(潤)
    한(漢)
    33世
    식(植)
    근(根)
    권(權)
    34世
    연(然)
    헌(憲)
    응(應)
    35世
    요(堯)
    균(均)
    배(培)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밀성부원군파
    27世
    희(熙)
    휴(烋)
    28世
    규(奎)
    기(基)
    29世
    용(鏞)
    선(善)
    30世
    수(洙)
    흡(洽)
    31世
    병(棅)
    기(棋)
    32世
    돈(燉)
    엽(燁)
    33世
    중(重)
    남(南)
    34世
    호(鎬)
    용(鎔)
    35世
    락(洛)
    영(泳)
    36世
    동(東)
    주(柱)
    37世
    병(炳)
    현(炫)
    38世
    헌(憲)
    석(錫)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판도판각공파
    29世
    한(漢)
    30世
    빈(彬)
    31世
    병(炳)
    32世
    규(圭)
    33世
    용(鎔)
    34世
    영(泳)
    35世
    동(東)
    36世
    희(熙)
    37世
    재(在)
    38世
    호(鎬)
    39世
    태(泰)
    40世
    근(根)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47世
    -
    48世
    -

     밀성군파
    27世
    선(善)
    준(濬)
    28世
    영(泳)
    주(柱)
    29世
    근(根)
    연(然)
    30世
    유(裕)
    종(種)
    31世
    희(喜)
    용(鏞)
    32世
    상(常)
    해(海)
    33世
    연(淵)
    식(植)
    34世
    화(和)
    사(思)
    35世
    병(炳)
    성(城)
    36世
    -

     밀원부원군파
    20世
    원(源)
    순(淳)
    21世
    병(秉)
    인(仁)
    22世
    섭(燮)
    열(烈)
    23世
    성(聖)
    요(堯)
    24世
    호(鎬)
    탁(鐸)
    25世
    윤(潤)
    해(海)
    26世
    동(東)
    목(穆)
    27世
    우(愚)
    돈(燉)
    28世
    주(周)
    희(喜)
    29世
    용(鏞)
    일(鎰)
    30世
    만(滿)
    락(洛)
    31世
    수(秀)
    근(根)
    32世
    -
    33世
    -
    34世
    -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1世孫은 2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
    밀양(密陽)은 지금의 밀양시 일원에 있던 지명으로 삼한시대에 변한(弁韓)의 일부로 가락국(駕洛國)에 속했으며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었다고 한다. 법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어 추화군(推火郡, 밀벌 또는 미리벌)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6)에는 밀주(密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는 군민의 모반 사건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어 계림부(鷄林府: 慶州)에 편입되었다가 후에 현으로 승격하였다. 1285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로 승격하였다. 조선 1415년(태종 15)에 밀양도호부가 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경상남도 밀양군이 되었다. 1918년에는 부내면이 밀양면으로 개칭되고 1931년에 밀양읍으로, 1989년 시로 승격하여 독립하였다. 1995년 밀양군이 밀양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밀양박씨는
    1985년에는 641,900가구 2,704,819명, 2000년에는 946,307가구 3,031,47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103,94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