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반남박씨(潘南朴氏)
    유래
     시조 : 박응주(朴應珠)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박혁거세의 후손으로 선조를 알수가 없으나 반남현(나주)에서 대대로 살아오던 선비집안의 후손으로 호장을 지냈고 그의 6세손 박은이 조선초기 왕자의 난 때 태종을 도와 익재동덕좌명공신으로 좌의정에 이르렀고 반남군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박응주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반남으로 하였다.
    인물
    박은, 박숭질(崇質), 박세채(世采), 박종악(宗岳), 박종훈(宗薰), 박회수(晦壽) 등의 상신,
    박태상(泰尙), 박규수(珪壽) 등의 대제학, 박세당(世堂), 박지원(趾源) 등의 뛰어난 학자가 있으며, 박소(紹), 박응남(應男), 박응복(應福), 박태보(泰輔) 등의 인물이 있다.
    조선시대에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과 조선 후기에 판서급 인물을 많이 배출하여 박씨 중에서 벼슬이 가장 화려하다.
    주요 인물
    박영효(朴泳孝)박완서(朴婉緖)박지원(朴趾源)박강(朴薑)박규(朴葵)
    박규수(朴珪壽)박기수(朴岐壽)박기수(朴綺壽)박기양(朴箕陽)박난수(朴蘭壽)
    박대하(朴大夏)박동량(朴東亮)박동망(朴東望)박동선(朴東善)박동언(朴東彦)
    박동열(朴東說)박동현(朴東賢)박맹지(朴孟智)박명원(朴明源)박미(朴瀰)
    박병(朴炳)박사(朴㴲)박사석(朴師錫)박사수(朴師洙)박사익(朴師益)
    박사정(朴師正)박사창(朴師昌)박사해(朴師海)박사형(朴師亨)박상덕(朴相德)
    박상충(朴尙衷)박선수(朴瑄壽)박성양(朴性陽)박성원(朴盛源)박세견(朴世堅)
    박세교(朴世橋)박세당(朴世堂)박세모(朴世模)박세상(朴世相)박세성(朴世城)
    박세장(朴世樟)박세채(朴世采)박세후(朴世后)박소(朴紹)박숭질(朴崇質)
    박승무(朴勝武)박승임(朴承任)박시원(朴時源)박억년(朴億年)박엽(朴燁)
    박영교(朴泳敎)박용(朴墉)박운수(朴雲壽)박원도(朴元度)박원양(朴元陽)
    박유(朴瀏)박유굉(朴裕宏)박윤수(朴崙壽)박윤원(朴胤源)박은(朴訔)
    박응남(朴應男)박응복(朴應福)박응순(朴應順)박응인(朴應寅)박응천(朴應川)
    박의(朴漪)박이양(朴彝陽)박일원(朴一源)박재원(朴在源)박정(朴炡)
    박정양(朴定陽)박제경(朴齊璟)박제경(朴齊絅)박제관(朴齊寬)박제근(朴齊近)
    박제빈(朴齊斌)박제성(朴齊晟)박제소(朴齊韶)박제순(朴齊純)박제인(朴齊寅)
    박종갑(朴宗甲)박종겸(朴宗謙)박종경(朴宗慶)박종덕(朴宗德)박종보(朴宗輔)
    박종악(朴宗岳)박종여(朴宗輿)박종훈(朴宗薰)박종희(朴宗喜)박주양(朴周陽)
    박준원(朴準源)박찬(朴璨)박치륭(朴致隆)박태만(朴泰萬)박태보(朴泰輔)
    박태상(朴泰尙)박태손(朴泰遜)박태순(朴泰淳)박태원(朴泰遠)박태유(朴泰維)
    박태정(朴泰定)박태창(朴泰昌)박태항(朴泰恒)박필간(朴弼幹)박필건(朴弼健)
    박필균(朴弼均)박필리(朴弼理)박필명(朴弼明)박필몽(朴弼夢)박필부(朴弼傅)
    박필성(朴弼成)박필재(朴弼載)박필주(朴弼周)박필현(朴弼顯)박호수(朴鎬壽)
    박호양(朴顥陽)박홍수(朴弘壽)박환(朴煥)박황(朴潢)박회무(朴檜茂)
    박회수(朴晦壽)수빈박씨(綏嬪朴氏)의인왕후(懿仁王后)인성왕후(仁聖王后)죽서박씨(竹西朴氏)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필철(朴弼哲,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영조1년(1725)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사수(朴師洙, 1686 丙寅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사유(朴師游, 1697 丁丑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세당(朴世堂, 1629 己巳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태보(朴泰輔, 1654 甲午生) : 문과(文科) 숙종3년(1677)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소(朴紹, 1493 癸丑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동열(朴東說,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선조27년(1594)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필리(朴弼理, 168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태상(朴泰尙, 1636 丙子生) : 문과(文科) 현종12년(167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세모(朴世模,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47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89명, 생원진사시 286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5世
    ○서(緖)
    26世
    찬(贊)○
    27世
    ○우(雨)
    ○하(夏)
    ○준(儁)
    28世
    천(天)○
    인(仁)○
    지(持)○
    29世
    ○춘(春)
    ○승(承)
    30世
    헌(憲)○
    녕(寧)○
    31世
    ○오(吾)
    ○오(五)
    32世
    장(章)○
    재(宰)○
    33世
    ○호(虎)
    ○순(純)
    34世
    겸(謙)○
    선(善)○
    35世
    ○구(旭)
    ○구(九)
    36世
    평(平)○
    두(斗)○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반남(潘南)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반내부리현(半奈夫里縣: 일명 半那夫里縣)이라 불리었고, 대방주(帶方州: 羅州)의 관할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반남군(潘南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야로(野老)와 곤미(昆湄: 珍島로 추정)를 관할하였다. 고려시대에 현으로 강등되어 1018년(현종 9)에 나주에 속하였다. 1995년에 나주군과 통합된 나주시의 반남면(潘南面)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반남박씨는
    1985년에는 28,400가구 118,847명, 2000년에는 43,300가구 139,43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0,96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