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반남박씨(潘南朴氏)
유래
시조 : 박응주(朴應珠)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박혁거세의 후손으로 선조를 알수가 없으나 반남현(나주)에서 대대로 살아오던 선비집안의 후손으로 호장을 지냈고 그의 6세손 박은이 조선초기 왕자의 난 때 태종을 도와 익재동덕좌명공신으로 좌의정에 이르렀고 반남군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박응주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반남으로 하였다. 인물
박은, 박숭질(崇質), 박세채(世采), 박종악(宗岳), 박종훈(宗薰), 박회수(晦壽) 등의 상신,
박태상(泰尙), 박규수(珪壽) 등의 대제학, 박세당(世堂), 박지원(趾源) 등의 뛰어난 학자가 있으며, 박소(紹), 박응남(應男), 박응복(應福), 박태보(泰輔) 등의 인물이 있다. 조선시대에 상신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과 조선 후기에 판서급 인물을 많이 배출하여 박씨 중에서 벼슬이 가장 화려하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필철(朴弼哲,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영조1년(1725)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사수(朴師洙, 1686 丙寅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사유(朴師游, 1697 丁丑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세당(朴世堂, 1629 己巳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태보(朴泰輔, 1654 甲午生) : 문과(文科) 숙종3년(1677)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소(朴紹, 1493 癸丑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동열(朴東說,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선조27년(1594)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필리(朴弼理, 168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태상(朴泰尙, 1636 丙子生) : 문과(文科) 현종12년(167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세모(朴世模,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47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89명, 생원진사시 286명, 의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반남(潘南)은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반내부리현(半奈夫里縣: 일명 半那夫里縣)이라 불리었고, 대방주(帶方州: 羅州)의 관할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반남군(潘南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야로(野老)와 곤미(昆湄: 珍島로 추정)를 관할하였다. 고려시대에 현으로 강등되어 1018년(현종 9)에 나주에 속하였다. 1995년에 나주군과 통합된 나주시의 반남면(潘南面)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반남박씨는
1985년에는 28,400가구 118,847명, 2000년에는 43,300가구 139,43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0,96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