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비안박씨(比安朴氏)
    유래
     시조 : 박우(朴瑀)
    시조 박우(朴瑀)의 선조는 기록이 없어 고증할 수는 없다. 그는 고려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고 벽상공신(壁上功臣)으로 병산군(屛山君)에 봉해지고 비안에 정착하여 대로 살았으므로 본관을 비안으로 하였다.
    인물
    - 박일(朴逸): 박우의 아들. 판도사판서, 증손 박징(朴徵)은 공조전서를 지냈다.
    - 박계오(朴繼五): 5대손. 판도사판서를 지냈다.
    - 박서생(朴瑞生): 박계오의 증손. 대사헌, 집현전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청백리에 올랐다. 또한 그는 수차(水車)의 사용을 건의하여 농사에 혁신을 가져왔다.
    - 박효원(朴孝元): 박서생의 아들. 춘추관기사관으로 '세조실록(世祖實錄)'을 편찬하고 장령, 사간을 역임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징빈(朴徵賓, 1681 辛酉生) : 문과(文科) 숙종36년(171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징좌(朴徵佐,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12년(1736) 정시 병과(丙科)
     박수유(朴垂裕, 1708 戊子生) : 문과(文科) 영조16년(1740) 증광시 병과(丙科)
     박서생(朴瑞生) : 문과(文科) 태종1년(1401) 증광시 병과(丙科)
     박효원(朴孝元)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정과(丁科)
     박서생(朴瑞生) : 문과(文科) 태종7년(1407) 중시 을과(乙科)
     박대인(朴大仁) : 문과(文科) 중종32년(1537) 식년시 병과(丙科)
     박희성(朴希聖, 1538 戊戌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을과(乙科)
     박수문(朴垂聞, 1728 戊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8년(1762) 식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박수휴(朴垂休, 1711 辛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14년(1738)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1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6世
    갑(甲)
    27世
    봉(鳳)
    28世
    병(炳)
    29世
    녕(寧)
    30世
    무(茂)
    31世
    -
    32世
    -
    33世
    -
    34世
    -
    3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경상북도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으로 비옥(比屋)과 안정(安貞) 2개현을 합명한 것이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비옥현(比屋縣)으로 고쳐, 문소군(聞韶郡: 義城)의 영현을 삼았다. 한편 안정현(安貞縣)은 본래 신라의 아시혜현(阿尸兮縣)을 경덕왕이 안현현(安賢縣)으로 고쳤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안정현으로 개칭하여 비옥현과 더불어 상주목(尙州牧)의 관할이 되었다. 1421년(세종 3)에 안정현과 합하여 안비현(安比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423년에 두 현을 합해서 비안현(比安縣)이라 하였다. 병산(幷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8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편으로 대구부 비안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경상북도 소속이 되었다. 그 후 1914년에는 군면 폐합으로 현서면(縣西面)은 예천군에 속하고, 나머지는 의성군에 병합되어 비안군은 폐지되고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으로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비안박씨는
    1985년에는 641가구 2,767명, 2000년에는 870가구 2,58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31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