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사천박씨(泗川朴氏)
유래
시조 : 박인겸(朴仁謙)
시조 박인겸(朴仁謙)은 신라 제2대 남해왕(南解王)의 둘째 아들 박남환(朴男桓)의 후손이다. 고려 충렬왕(忠烈王)때에 공부상서(工部尙書)와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내고 사주군(泗州君)에 추봉(追封)되었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사천(泗川)으로 하게 되었다. 그후 박인겸의 손자 박자문(朴自文)이 충숙왕(忠肅王)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민왕(恭愍王)때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내고 사천군(泗川君)에 봉해졌으며, 고려 우왕(禑王)때 어지러운 정국을 피하여 함경남도 안변에서 숨어지내다가 영흥(永興)에 이사하여 자손들이 박자문을 1세조상으로 하고 있다. - 시조 박인겸의 묘는 경남 사천에있다. 인물
박자문의 아들 양준(朴良俊)이 향직(鄕職)인 창정(倉正)을 역임했고, 손자 박수도(朴守道)는 총경장군(摠京將軍)으로 무명(武名)을 떨쳐 이조정랑(吏曹正郞)을 지낸 박대재(朴大材: 박양준의 현손)와 함께 가문을 중흥시켰다.
한편 정용낭장(精勇郎將) 박인경(朴仁景: 박자문의 10세손)의 아들 박용계(朴龍桂)가 1469(예종 즉위)에 출생하여 장사랑(將仕郞)으로 의릉참봉(義陵參奉)을 지내고 영흥좌수(永興座首)를 자청하여 선원전(璿源殿) 축성 때 도감(都監)으로 공(功)을 세워 용양위부호군에 올랐으며, 함주군 상조양면 상한리(咸州郡上朝陽面上閒里)로 옮겨 살게 되어 후손들이 입함흥중조(入咸興中祖)로 받들어왔다. 그외 판결사(判決事) 박창문(朴昌文)과 효성(孝誠)으로 명망이 높았던 박두문(朴斗文), 박원해(朴元楷)가 유명했고, 박창조(朴昌朝)는 찰방(察訪)을 역임하여 주부(主簿)를 지낸 박영주(朴永胄)와 더불어 가문의 전통을 이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창조(朴昌朝,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정조7년(1783) 식년시 병과(丙科)
박영주(朴永胄, 180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6년(1840) 식년시 이등(二等) 박영면(朴永冕, 1833 癸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철종12년(1861)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사천
사천(泗川)은 경상남도 사천시 일원의 옛 행정구역명으로 신라시대에 사물현(史勿縣)이라 불리우다가 757년(경덕왕 16)에는 사수현(泗水縣)으로 불리었이고 고성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사주(泗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진주의 관할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사천현으로 개칭되었다. 동성(東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에서 경상남도 사천군으로 이관되었고, 1896년에 경상남도 사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곤양군이 사천에 폐합되었다. 1925년 읍내면이 사천면으로 개칭되었고 1956년에 읍으로 승격했으며 1995년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통합되어 사천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사천박씨는
1985년에는 270가구 1,110명, 2000년에는 252가구 88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4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