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상주박씨(尙州朴氏)
    유래
     시조 : 박여(朴侶)
    시조 박여는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다섯째 아들 박언창(사벌대군)의 12세손으로 고려 충렬왕 때 삼중대광 첨의찬성사로 상산 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그 후손들이 본관을 상주(상산)로 하였다. 중시조는 고려시대의 덕천창부사 박견(朴甄)이다.
    인물
    박광우(光佑), 박안신(安臣), 박세희(世熹), 박건중(建中) 등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세희(朴世憙, 1491 辛亥生) : 문과(文科) 중종9년(151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박희현(朴熙顯, 1780 庚子生) : 문과(文科) 순조9년(1809) 별시 병과(丙科)
     박일성(朴日省, 1594 甲午生) : 문과(文科) 인조3년(1625) 별시 병과(丙科)
     박대빈(朴大彬, 1572 壬申生) : 문과(文科) 선조34년(1601) 식년시 병과(丙科)
     박이창(朴以昌) : 문과(文科) 태종17년(1417)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박광우(朴光佑, 1495 乙卯生) : 문과(文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갑과(甲科)
     박규일(朴揆一, 1636 丙子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식년시 병과(丙科)
     박광필(朴光弼)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식년시 을과(乙科)
     박광좌(朴光佐) : 문과(文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을과(乙科)
     박세후(朴世煦, 1497 丁巳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5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1명, 무과 15명, 생원진사시 2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3世
    재(在)
    24世
    석(錫)
    25世
    한(漢)
    26世
    춘(春)
    27世
    영(榮)
    28世
    철(喆)
    29世
    종(鐘)
    30世
    수(洙)
    31世
    주(柱)
    32世
    열(烈)
    33世
    준(埈)
    34世
    -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4世孫은 23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
    상주(尙州)는 경상북도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상산(商山)이라고도 한다. 삼한시대에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나 185년(신라 벌휴왕 2,고구려 고국천왕 7) 사벌국(沙伐國: 혹은 沙佛國)이라는 소국으로 유지해 오다가 신라 첨해왕 때 정벌되어 524년(신라 법흥왕 11)에 상주(上州)로 고쳐 군주(君主)를 두었다. 진흥왕이 상락군(上洛郡)으로 고치고 신문왕 때 사벌주(沙伐州)로 개칭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상주(尙州)로 개칭하였으며 776년(혜공왕 12)에 다시 사벌주로 환원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상주라 이름하였다가 곧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바뀌었고 성종 때 귀덕군(歸德郡)이라 하여 영남도(嶺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8년(현종 9) 전국에 8곳의 목(牧)을 설치할 때 상주목이 되었다. 1012년(현종 3) 다시 상주안무사(尙州安撫使)로 고쳐서 8목의 하나로 정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상주목으로 개편되었다. 1408년(태종 8)에 경상감영이 상주로 옮겨왔다가, 1596년(선조 29)에 관찰사영은 경상도의 중앙에 위치한 대구로 옮겨갔다. 상락(上洛)·상산(商山)·타아(陀阿)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상주목이 상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896년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함창군이 편입되었고, 1931년에 상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에는 상주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1995년 상주군이 상주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상주박씨는
    1985년에는 4,667가구 20,246명, 2000년에는 7,368가구 23,62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5,23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