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여주박씨(驪州朴氏)
    유래
     시조 : 박지석(朴之碩)
    시조 박지석(朴之碩)은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첫째 아들 박언침(밀성대군)의 20세손이다. 그는 고려 때에 중훈대부 사재 감부정을 역임하고 아버지 박환(주랑장)은 종손 박서창이 함길도 관찰사로 재직시에 여주에서 함흥으로 이사해서 정착해 살면서 후손들이 원래의 고향인 여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응룡(朴應龍, 1850 庚戌生) : 문과(文科) 고종7년(1870) 식년시 병과(丙科)
     박천일(朴天逸, 1595 乙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유정(朴有貞)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박홍건(朴弘健,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시응(朴時膺, 1655 乙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9년(1693) 식년시 삼등(三等)
     박내규(朴來圭, 185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박기홍(朴基洪, 180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철종1년(1850) 증광시 삼등(三等)
     박종협(朴宗俠, 1753 癸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9년(1773)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8世
    석(錫)
    19世
    원(源)
    20世
    영(榮)
    21世
    병(炳)
    22世
    기(基)
    23世
    진(鎭)
    24世
    하(河)
    25世
    지(枝)
    26世
    찬(燦)
    27世
    배(培)
    28世
    련(鍊)
    29世
    해(海)
    30世
    근(根)
    31世
    묵(默)
    32世
    규(圭)
    33世
    -
    34世
    -
    35世
    -
    36世
    -
    37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9世孫은 18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여주(驪州)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주박씨는
    1985년에는 367가구 1,433명, 2000년에는 365가구 1,13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0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