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영암박씨(靈巖朴氏)
    유래
     시조 : 박항(朴恒)
    시조 박항(朴恒)은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첫째 아들 박언침(밀성대군)의 10세손으로 고려 인종 때 좌정승을 지냈고 정사훈으로 영암군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영암으로 하였다.

    - 묘소는 함경남도 문천에 있다.
    인물
    박항은 평장사 박언인(彦仁)의 손자이고, 시중을 지낸 박찬행(讚行)의 증손이며, 그의 아들 박통(通)은 영암군이고, 손자 박광(光)은 문하시중, 증손 박성제(成濟)는 장군, 7대손 박성찬(成贊)은 좌찬성, 9대손 박징(澄)은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필진(朴必珍,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영조22년(1746) 별시2 을과(乙科)
     박경원(朴慶元, 1575 乙亥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식년시 갑과(甲科)
     박호문(朴好文, 1650 庚寅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박성지(朴成智, 1559 己未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박찬영(朴贊英, 1646 丙戌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박성길(朴成吉)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박준서(朴俊瑞, 1650 庚寅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박승주(朴承胄, 1650 庚寅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정시 병과(丙科)
     박정길(朴廷吉, 1642 壬午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박지행(朴志行, 1648 戊子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2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13명, 생원진사시 1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1世
    영(榮)
    32世
    시(時)
    33世
    진(鎭)
    34世
    제(濟)
    35世
    권(權)
    36世
    찬(燦)
    37世
    기(基)
    38世
    종(鍾)
    39世
    한(漢)
    40世
    병(柄)
    41世
    형(炯)
    42世
    재(在)
    43世
    석(錫)
    44世
    -
    45世
    -
    46世
    -
    47世
    -
    48世
    -
    49世
    -
    5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2世孫은 3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
    영암(靈巖)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마한의 영토였다가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으로 월내군(月奈郡)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암군(靈巖郡)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낭주(郎州)로 개칭하고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낭주를 폐하고 안남도호부가 전주로 옮겨감으로 영암군으로 환원되었다. 낭산(朗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영암군이 되었고, 1896년에 전라남도 영암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암면과 시종면 등 11개 면으로 분면되었고, 1979년 영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암박씨는
    1985년에는 1,380가구 5,670명, 2000년에는 1,954가구 6,1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25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