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운봉박씨(雲峰朴氏)
    유래
     시조 : 박중화(朴仲華)
    시조 박중화(朴仲華)는 박혁거세의 40세손으로 신라 경명왕의 맏아들인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沈)의 11세손이다. 고려말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역임하고 운봉군에 봉해져서 후손들이 밀양박씨(密陽朴氏)에서 분적하여 본관을 운봉으로 하였다.

    - 묘소는 경기도 김포군 하성면 마조리에 있으며 음력 10월 15일에 향사 한다.
    인물
    시조 박중화의 증손 박신(朴信)은 정몽주의 문인으로 조선시대에 찬성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박신의 아들 박종우(朴從愚)는 조선 태종의 장녀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하여 운성군(雲城君)에 봉해졌고 세종 때 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세조를 도와 정난일등공신(靖難一等功臣)으로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현상(朴賢祥, 1624 甲子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박기(朴麒) : 주학(籌學) 연산군1년(1495)
     박정복(朴廷馥, 1552 壬子生) : 주학(籌學) 선조22년(1589)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주학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5世
    종(從)
    6世
    손(孫)
    7世
    승(承)
    8世
    휴(休)
    9世
    효(孝)
    10世
    조(造)
    11世
    수(壽)
    12世
    봉(鳳)
    13世
    지(之)
    14世
    호(好)
    15世
    진(?)
    16世
    운(雲)
    17世
    중(重)
    18世
    훤(煊)
    19世
    재(載)
    20世
    진(鎭)
    21世
    영(永)
    22世
    래(來)
    23世
    태(泰)
    24世
    석(錫)
    25世
    홍(洪)
    26世
    동(東)
    27世
    용(容)
    28世
    기(基)
    29世
    종(鍾)
    30世
    수(洙)
    31世
    영(泳)
    32世
    열(烈)
    33世
    -
    3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6世孫은 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
    운봉(雲峰)은 전라북도 남원군(南原郡)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신라의 모산현(母山縣) 혹은 아영성(阿英城)·아막성(阿莫城)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운봉현(雲峰縣)으로 고쳐 천령군(天嶺郡: 咸陽)의 속현이 되었다. 1018년 남원부(南原府)의 속현이 되었다가, 1391년(공양왕 3)에는 아용곡권농병마사(阿容谷勸農兵馬使)를 겸하였다. 1392년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 현감이 파견되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읍이 피폐해지자 1605년(선조 38) 남원에 병합되었다가 1611년(광해군 3) 복구되었다. 별호는 운성(雲城)이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어 남원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북도에 속하였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운봉군이 폐지되고 남원군에 합해져 지금은 남원군 운봉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운봉박씨는
    1985년에는 344가구 1,469명, 2000년에는 429가구 1,39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9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