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박을규(朴乙規)
시조 박을규(朴乙規)의 본래 성은 왕(王)씨로 고려 말에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 조선이 개국을 하자 정치적 박해를 피하기 위하여 춘성(春城, 현재 단양군 영춘면 거의동)에 은둔하였다가 조선 태종 때 외가의 성인 박씨를 따랐다. 그 후 후손들은 본관을 의흥(義興)으로 하였으나, 중간 계대(系代)가 실전(失傳)되어 후손인 박득서(朴得瑞)로부터 대(代)를 이었다. 박득서의 벼슬은 운산유학교도였다.
문헌상의 인물로는 1672년(조선 현종 13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군수를 지낸 박수검(자는 양백, 호는 임호)이 있으며 그는 박임호의 아들로 제천에서 살았다.
1930년 국세조사 때 경북 군위군 악계면에 26가구, 의흥면에 149가구, 충북 제천군 금성면 구룡리에 40가구가 살았다.
인물
시조 박득서(朴得瑞)의 아들 박근(朴瑾)은 1453년(단종 1년) 종사랑으로 청풍유학교도로 있으면서 문과 을과에 올랐다. 세조의 등극 때 공을 세워 한확, 최항 등과 함께 참좌익훈으로 책록되었다.
박임호(朴林湖)의 아들 박수검(朴守儉)은 1672년 별시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학록(學錄), 학정(學正), 전적 등을 거쳐 예조좌랑, 호조정랑을 지냈다. 외직으로는 무장(茂長), 정천(定川)의 현감을 역임하고, 다시 내직의 통례원좌통례에 이르렀다. 제천(堤川)에서 살았으며 자는 양백(養伯), 호는 임호(林湖)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한(朴翰)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별시 병과(丙科)
박근(朴瑾)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식년시 을과(乙科)
박수검(朴守儉, 1629 己巳生) : 문과(文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박죽(朴竹,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일운(朴一雲, 1590 庚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중립(朴仲立, 1615 乙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운생(朴云生,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응룡(朴應龍, 1588 戊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박진영(朴震英, 1642 壬午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박이순(朴以順,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7명, 생원진사시 10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
의흥(義興)은 경상북도 군위군(軍威郡)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삼국시대 이전의 역사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고려 초에 의흥군(義興郡)이 되어 1018년(현종 9)에 안동부(安東府)에 속하게 하였고, 1390년(공양왕 2)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부계현(缶溪縣)을 병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의흥군으로 승격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의흥군이 폐지되었고 의흥지역이 군위군에 편입되면서 의흥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의흥박씨는
1985년에는 981가구 3,970명, 2000년에는 1,046가구 3,39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94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