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죽산박씨(竹山朴氏)
유래
시조 : 박기오(朴奇悟)
시조 박기오(朴奇悟, 시호는 충정)은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넷째 아들 박언립(죽성대군)의 아들로 고려초 삼한벽상공신 태보 삼중대광으로 계림군에 봉해졌다가 그후 죽주(죽산)백에 봉해지고 죽주를 식읍으로 하사 받았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죽산으로 하였다. 그런데 고려시대에 철성백파의 후손에게 음성과 고성을 식읍으로 하사함으로써 음성박씨와 고성박씨가 철성백파에서 분파한 것이라고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희인(朴羲寅, 1861 辛酉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별시 을과(乙科)
박종유(朴宗儒, 167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4년(1728) 별시2 을과(乙科) 박원형(朴元亨, 1411 辛卯生) : 문과(文科) 세종16년(1434) 알성시 을과(乙科) 박규수(朴奎壽, 1712 壬辰生) : 문과(文科) 영조14년(1738) 식년시 병과(丙科) 박홍호(朴弘頀, 1612 壬子生) : 문과(文科) 인조13년(1635) 알성시 을과(乙科) 박경선(朴慶先, 1552 壬子生) : 문과(文科) 선조19년(1586) 중시 을과(乙科) 박담년(朴聃秊) : 문과(文科) 중종17년(1522) 식년시 병과(丙科) 박기수(朴期壽) : 문과(文科) 성종23년(1492) 식년시 병과(丙科) 박수문(朴守紋)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식년시 병과(丙科) 박사제(朴思齊,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선조22년(1589)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15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0명, 무과 27명, 생원진사시 90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안성
죽산(竹山)은 경기도 용인시(龍仁市)과 안성시(安城市) 일부에 속해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죽산현(竹山縣)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543년(중종 38)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죽산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원일면(遠一面)과 근삼면(近三面) 일부는 용인군(龍仁郡)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安城郡)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죽산박씨는
1985년에는 10,864가구 45,058명, 2000년에는 16,816가구 53,48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3,179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