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태인박씨(泰仁朴氏)
    유래
     시조 : 박언상(朴彦祥)
    시조 박언상(朴彦祥)은 신라 경명왕(박혁거세의 29세손)의 첫째 아들 박언침(밀성대군)의 8세손이며 검교대부 박찬행의 둘째 아들로서 고려 문종 때 도평의사사사를 지냈다. 그의 8세손 박거인이 고려말에 인의현으로 유배되어 그곳에 정착하여 살게 됨으로서 그의 증손 박연생이 본관을 태인으로 하였다. 중시조는 그의 후손 박현손(朴賢孫)이다.
    인물
    박수량(守良) : 박현손의 증손자.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 좌찬성, 중추부지사를 역임하고 청백리에 올랐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수량(朴守良, 1491 辛亥生) : 문과(文科) 중종9년(1514) 별시 을과(乙科)
     박수량(朴守良)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8년(1513) 식년시 이등(二等)
     박사우(朴思愚)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년(1546) 식년시 삼등(三等)
     박평(朴平) : 의과(醫科) 선조9년(1576) 식년시 ()
     박성남(朴成男) : 음양과(陰陽科) 선조3년(1570) 식년시 ()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의과 1명, 음양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6世
    만(萬)
    27世
    용(容)
    28世
    균(均)
    29世
    구(求)
    30世
    래(來)
    31世
    섭(燮)
    32世
    재(在)
    33世
    영(永)
    34世
    상(相)
    35世
    희(熙)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泰仁)은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의 합명이다. 태산현은 본래 백제의 대시산현(大尸山縣)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태산(太山)으로 고쳐 대산(大山)·태산(泰山) 등으로 불렸다. 940년(고려 태조 23) 빈성을 인의현으로 고치고, 1354년(공민왕 3) 대산군 태산(太山)으로 고치고 인의를 편입하였다. 인의현은 백제 때 빈굴(賓屈)·빈성(斌城)·부성(賦城) 등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성(武城)으로 고쳤고, 고려에 인의(仁義)로 고쳤다가 1409년(태종 9)에 태산(泰山)과 합하여 태인현(泰仁縣)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관할의 고부군·태인군·정읍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전라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부군과 태인군이 폐지되었고, 정읍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1930년에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되었고, 1931년에 정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정주읍이 시로 승격하여 정주시와 정읍군으로 나누어졌고, 1995년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태인박씨는
    1985년에는 140가구 588명, 2000년에는 140가구 45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6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