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박수경(朴守卿)
시조 박수경(朴守卿)의 선조는 박혁거세의 후손이라고 하나 고증할 수가 없다. 그는 원윤으로 평주에 침입한 견훤을 격퇴한 공으로 개국공신 평주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평주를 본관으로 하였으나 후손에대한 기록이 없어져서 박광염을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항렬자
20世
호(鎬)
|
21世
순(淳)
|
22世
모(模)
|
23世
병(炳)
|
24世
규(圭)
|
25世
종(鍾)
|
26世
태(泰)
|
27世
상(相)
|
28世
열(烈)
|
29世
균(均)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1世孫은 20代孫)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평산
평주(平州)는 현재 황해도 남동쪽에 위치한 평산군 지역으로 고구려 때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지실(多知悉)이라 하였으며, 747년(신라 경덕왕 6) 대곡성을 설치하였고, 757년(경덕왕 16)엔 영풍군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783년(선덕여왕 4)에는 진(鎭)을 두고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명칭을 평주로 바꾸었고, 성종 때 방어사(防禦使), 현종 때는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1272년(원종 13)엔 복흥군(復興郡) 즉 배천(白川)에 잠시 예속되었다가 충렬왕 때 다시 복구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평산으로 바꾸고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산군으로 개편하였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서부의 일부를 연백군에 이속시켰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주박씨는
1985년에는 19가구 113명, 2000년에는 32가구 8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