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안박씨(咸安朴氏)
    유래
    함안박씨(咸安朴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박효민(朴孝敏, 1605 乙巳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박대인(朴大仁)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6년(1531) 식년시 삼등(三等)
     박형(朴衡)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7년(1501)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함안
    함안(咸安)은 경상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옛 함안군과 칠원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지역이다. 삼한시대 변한(弁韓)의 땅이었으며, 가야연합국 중 아시량국(阿尸良國), 아라가야(阿羅伽倻)이었다. 이후 신라에 편입되어 아시량군(阿尸良郡)이 설치되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함안군으로 개칭하였고, 현무현(玄武縣)縣)·의령현(宜寧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함주(咸州)로 승격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함안군으로 금주(金州: 金海)에 병합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고, 1373년(공민왕 22)에 다시 함안군으로 승격하였다. 1505년(연산군 11)에 함안도호부(咸安都護府)가 되었다가, 1506년(중종 1)에 함안군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함안군과 칠원군이 되었다가, 1896년의 도제(道制) 실시로 경상남도에 소속되었다. 1906년 칠원군을 함안군에 통합했으며,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상봉(上奉)·하봉(下奉)·상사(上寺)의 3면(面)을 진주(晉州)에 예속시키고, 영산군 길곡면(吉谷面)의 사촌리(泗村里)·금암리(金巖里) 일부 및 마산부(馬山府) 내서면(內西面) 예곡리(禮谷里) 일부를 병합하였다. 1918년에 읍내면을 함안면으로 개칭하였다. 1933년 죽남면이 군북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 함안군 대산면(代山面) 산서리(山西里)를 가야면(伽倻面)에 편입하였다. 1979년에 가야면이 가야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안박씨는
    1985년에는 362가구 1,657명, 2000년에는 875가구 2,90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2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