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남양방씨(南陽房氏)
유래
시조 : 방준(房俊)
시조 방준(房俊)의 선조는 중국 요임근의 아들 단주가 방읍의 후로 봉해져 지명인 방을 성으로 하였다. 그후 고구려때(당나라 정관 17년)에 8학사를 파견할때에 단주의 후손이며 당나라 재상인 방현령의 둘째아들 방준이 8학사 중의 한사람으로 고구려에 와서 남양에 정착하여 살면서 남양을 본관으로 하였다. 그후의 후대는 알 수 없다가 고려때에 벽상공신 삼중대광보국을 역임한 방계홍을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이어오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방구행(房九行) : 문과(文科) 세종2년(1420)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방원정(房元井, 1593 癸巳生) : 문과(文科) 인조24년(1646) 식년시 병과(丙科) 방문중(房文中) : 문과(文科) 태종14년(1414) 식년시 을과(乙科) 방귀원(房貴元)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정과(丁科) 방철모(房喆謨, 1725 乙巳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병과(丙科) 방구달(房九達) : 문과(文科) 태종14년(1414) 친시 을과(乙科) 방옥정(房玉精) : 문과(文科) 성종3년(1472) 춘당대시 을과(乙科) 방윤익(房允翼, 1720 庚子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을과(乙科) 방부령(房復齡, 1562 壬戌生) : 무과(武科) 선조34년(1601) 식년시 병과(丙科) 방애정(房愛丁,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4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30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수원
남양(南陽)은 지금의 경기도 수원시(水原市)와 화성군(華城郡) 일원을 포함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에 당항성(唐項城)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치고, 쌍부(雙阜)·정송(貞松)·안양(安陽) 등을 관할하였다.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 水原)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군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 水原)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 仁川)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재양현(載陽縣: 安陽縣)을 관할하였다. 1290년(충렬왕 16)에 익주(益州)로, 후에 강령도호부(江寧都護府)로,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으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가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792년(정조 16)에 수원진을 남양으로 옮겨 설치하였고 별호는 영제(寧堤)·과포(戈浦)라 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남양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에 따라 수원의 두입지(斗入地)인 팔탄·분향·장안·초장·압정·오정 등 6개면이 남양군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양군이 폐지되어 수원군에 병합되었다. 이때 일부 면이 은덕·쌍수·마도·송산·서신·비봉면으로 통합되고 수원군에서 편입했던 6개면은 팔탄면·장안면·우정면으로 통합되어 다시 수원군에 편입되었다. 1931년 수원면이 수원읍으로 승격되고, 1949년 수원군을 분할하여 수원시로 승격시키고 수원군을 화성군으로 개칭하였다. 1963년 주변의 20개 리를 편입하였으며, 1967년 6월 서울시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시로 이전되었다. 1983년 전국행정구역 조정으로 용인시 수지면(水枝面) 하리(下里)·이의리(二儀里)의 2개 리가 편입되었다. 1987년 화성군 매송면(梅松面) 금곡리(金谷里)·호매실리(好梅實里)가 편입되었다. 1988년 7월 장안구·권선구 2개 구가 신설되었고, 1993년 팔달구가 신설되었다. 1994년 권선구에 입북동·당수동을, 팔달구에 영통동이 각각 신설되었다. 1995년 권선구 곡선동이 권선동과 곡선동으로 나뉘고, 화성군 태안읍 신리와 망포리 일원이 팔달구 매탄3동에 편입되었다. 2003년 11월 영통구가 신설되었다. 2004년 현재 4구 4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남양방씨는
1985년에는 3,911가구 15,985명, 2000년에는 7,038가구 22,49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7,45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