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온양방씨(溫陽方氏)
유래
시조 : 방지(方智)
중국 염제 신농씨의 13세손인 방뢰가 중국 하남지방에 살때 방씨란 성을 받았다. 온양 방씨의 시조인 방지는 방뢰의 134세손이며, 당나라에서 한림학자로서 황제의 명을 받고 669년(신라 문문왕9년) 신라에 와서 설총과 함께 육례 구경의 대지를 밝힌 동방유학의 한사람이다. 그후 상주에 정착하여 살았기 때문에 상주란 본관을 사용했고 그후 방운이 온수(온양)군에 봉해짐에 따라 본관을 온양으로 하게 되었다. 시조인 방지로부터 방운 까지는 문헌이 없어져서 방운을 1세 조상으로 하고있다. 상주방씨, 신창방씨, 군위방씨는 모두 온양으로 합본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방효린(方孝隣, 1843 癸卯生) : 문과(文科) 고종2년(1865) 식년시 병과(丙科)
방우곤(方禹坤, 1724 甲辰生) : 문과(文科) 영조32년(1756) 식년시 병과(丙科) 방종한(方宗翰, 1817 丁丑生) : 문과(文科) 철종9년(1858) 식년시 병과(丙科) 방계영(方啓霙, 1789 己酉生) : 문과(文科) 순조31년(1831) 식년시 병과(丙科) 방역(方易, 1729 己酉生) : 문과(文科) 정조16년(1792) 식년시 병과(丙科) 방하진(方夏鎭, 1845 乙巳生) : 문과(文科) 고종16년(1879) 식년시 병과(丙科) 방태곤(方泰坤, 1726 丙午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식년시 병과(丙科) 방즙(方○, 1661 辛丑生) : 문과(文科) 숙종25년(1699) 식년시 을과(乙科) 방우(方○, 1646 丙戌生) : 무과(武科) 현종14년(1673) 식년시 병과(丙科) 방유징(方有徵)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3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20명, 생원진사시 14명, 역과 49명, 의과 36명, 음양과 3명, 율과 4명, 주학 3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
온양(溫陽)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탕정군(湯井郡)이었다. 671년(신라 문무왕 11)에 탕정주(湯井州)로 승격되어 총관(摠管)이 파견되었다. 757년(경덕왕 16)에는 탕정군으로 강등되었으나 음봉현(陰峰縣)·기량현(祈梁縣)·평택현(平澤縣)을 영현으로 관장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온수군(溫水郡)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에 천안부(天安府)에 속하게 하였다. 1172년(명종 2) 현으로 강등되었다. 1414년(태종 14)에 신창(新昌)과 병합하여, 온창현(溫昌縣)이라 이름을 바꾸었다가 1416년에 다시 온수현을 분리하였다. 1441년(세종 23)에 왕이 온천에 행차한 후 병에 차도가 있어 온양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이후에도 역대 왕들은 이곳 온천에 자주 행차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온양군이 되었고, 1896년에 충청남도 온양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온양군은 아산군·신창군과 함께 아산군으로 통합함으로써 폐지되었다. 1941년 관할 군내면·서면·읍내면을 합해 만든 온양면이 온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 인근지역을 편입해 면적을 확장하던 온양읍이 1986년에 시로 승격, 아산군에서 분리되었다. 1995년 온양시와 아산군을 통합하여 아산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온양방씨는
1985년에는 17,933가구 75,290명, 2000년에는 19,961가구 64,12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0,44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