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곤양배씨(昆陽裵氏, 곤산)
    유래
     시조 : 배맹달(裵孟達)
    시조 배맹달(裵孟達)은 달성군 배운룡(裵雲龍)의 13세손으로 조선 세조13년(1467년)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서훈되고, 병조판서에 특진되었으며 서강군에 봉해졌다가 곤산군에 개봉(改封)되었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달성배씨에서 분적하여 본관을 곤양으로 삼게 되었다. 곤산은 곤양의 옛 지명이다.
    인물
    배맹달(裵孟達)의 아들 4형제가 현달했고, 그의 후대에서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되어 가세가 크게 융성하기 시작했다.
    배맹달의 맏아들 배숙흥(裵叔興)은 조선시대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거쳐 진주 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둘째 배사종(裵嗣宗)은 양지 현감을 역임했으나 연산군의 난정이 계속되자 벼슬의 뜻을 버리고 향리로 돌아갔다. 배숙흥의 손자 배언구(裵彦矩)는 주부(主簿)를 지냈고, 그의 아우 배언손(裵彦孫)은 통정대부에 올랐으며, 임진왜란때 순절한 배치례(裵致禮)의 아들 배언필(裵彦弼)은 선전관을 역임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배영성(裵榮成, 1639 己卯生) : 문과(文科) 현종4년(1663) 식년시 병과(丙科)
     배은성(裵殷星, 1848 戊申生) : 문과(文科) 고종11년(1874) 정시 병과(丙科)
     배은성(裵殷星) : 문과(文科) 고종13년(1876) 중시 병과(丙科)
     배인호(裵仁好, 1630 庚午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배봉해(裵奉海,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배곤희(裵昆希,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곤양(昆陽)은 경남 사천군에 속해있는 곤양의 옛지명은 곤산(昆山)으로 고려 때 곤명현(昆明縣)이라 하였고, 조선 세종때 남해현과 합하여 곤남군이 되었으며, 1437년에 진주의 금양부곡과 합하여 곤양으로 고쳤다. 그후 곤양면(昆陽面), 곤명면(昆明面)으로 바뀌어 왔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곤양배씨는
    1985년에는 1,174가구 4,880명, 2000년에는 2,284가구 7,32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54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