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배경분(裵景分)
시조 배경분(裵景分)은 무열공 배현경(裵玄慶)의 7세손으로 고려 시대에 겸교장군(檢校將軍)을 역임했다.
배경분의 6세손 배전(裵詮)이 고려 충혜왕 때 호군(護軍)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로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하여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첨의평리(三重大匡僉議評理)에 책록되고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지자 본관을 흥해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배용길(裵龍吉,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선조35년(1602) 별시 을과(乙科)
배상규(裵相奎, 1811 辛未生) : 문과(文科) 헌종9년(1843) 식년시 병과(丙科)
배남(裵楠) : 문과(文科) 태종11년(1411)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배소(裵素) : 문과(文科) 태종8년(1408)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배효숭(裵孝崇) : 문과(文科) 세종29년(1447) 식년시 병과(丙科)
배상현(裵象鉉,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헌종15년(1849) 별시 병과(丙科)
배윤명(裵胤命, 1689 己巳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증광시 병과(丙科)
배둔(裵屯, 1374 甲寅生) : 문과(文科) 태조2년(1393)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배덕문(裵德文) : 문과(文科) 명종8년(1553) 별시 병과(丙科)
배맹후(裵孟厚) : 문과(文科) 세조8년(1462) 별시 정과(丁科)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5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8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
흥해(興海)는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 흥해읍 일대의 옛 지명이다. 삼한시대에 다벌국이 있었다고 한다. 신라 때에는 퇴화군(退火郡)이라 불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의창군(義昌郡)으로 개칭하였고 신라 말기에는 남북미질부성(南北彌秩夫城) 이라고도 불리었다. 930년(고려 태조 13)에 남북미질부성을 다시 합쳐 흥해군(興海郡)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에 경주부(慶州府)에 속하였다가, 1172년(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다. 1367년(공민왕 16)에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고 곡강(曲江)·오산(鰲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도 흥해군으로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동래부 흥해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 흥해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흥해군이 6개면으로 분면되어 폐지되고 영일군(迎日郡)에 병합되었다. 1956년 흥해면과 곡강면을 의창면(義昌面)으로 통합하고 1973년 의창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가 1983년 의창읍이 다시 흥해읍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95년 영일군이 포항시에 병합되었고 북구로 신설되어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흥해배씨는
1985년에는 4,891가구 19,824명, 2000년에는 9,130가구 29,21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4,25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