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대흥백씨(大興白氏)
    유래
     시조 : 백임지(白任至)
    시조 경렬공 백임지(白任至, 1131년~1191년)는 1170(경인년)에 왕을 시종한 공로로 8품직에서 수년만에 재상의 반열에 오른 입지적 출세의 가도를 달렸다. 조위총의 난에 공을 세우고 우군지병마사에 올랐다가 곧 대장군에 오르고 공을 세워 지형부사에 자금어대를 하사 받고 상장군을 거쳐 형부상서, 병부상서 오르고 1188년(무신년)에는 추밀원부사 공부상서를 거쳐 지추밀원사 이부상서 태자빈객에 올랐으며 1190년(경술년)에 지문하성사 공부상서에 임명되었다.

    서기1191년(신해년: 고려 명종21년) 2월22일 61세로 서거하였는데 왕이 조문관을 보내어 애도하고 시호를 경렬(景烈)이라 내렸으며 3월12일에 예장하였다.

    - 고려사에 백임지 전기가 있고 묘지명은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백사윤(白思潤, 1697 丁丑生) : 문과(文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병과(丙科)
     백해운(白海運, 1804 甲子生) : 문과(文科) 순조31년(1831) 식년시 병과(丙科)
     백세흥(白世興, 1630 庚午生) : 문과(文科) 숙종1년(1675) 식년시 을과(乙科)
     백몽린(白夢麟, 1573 癸酉生) : 무과(武科) 선조35년(1602) 별시 병과(丙科)
     백미량(白眉良)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0년(1525) 식년시 삼등(三等)
     백진흥(白震興, 163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1년(1660) 식년시 이등(二等)
     백경(白暻, 1666 丙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5년(1689) 증광시 삼등(三等)
     백표(白彪, 160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4년(1646) 식년시 삼등(三等)
     백세흥(白世興, 1630 庚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3년(1652) 증광시 삼등(三等)
     백시승(白始升, 168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경종3년(1723)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5世
    옥(玉)
    26世
    거(居)
    27世
    운(運)
    28世
    중(重)
    29世
    진(鎭)
    30世
    순(淳)
    31世
    운(雲)
    32世
    동(董)
    33世
    토(土)
    3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
    대흥(大興)은 충청남도 예산군(禮山郡)에 속한 지명으로 백제시대에는 임존성(任存城) 혹은 금주(今州)라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임성군(任城郡)으로 개칭하여 웅주(熊州: 公州)의 관할로 있었고, 청무현(靑武縣: 靑陽)과 고산현(孤山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대흥군으로 바꾸고, 1018년(현종 9) 홍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는 대흥현이 되었고, 1682년(숙종 7) 대흥군으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대흥군이 되었다가 1896년 충청남도 대흥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예산군, 덕산군과 함께 예산군으로 통합되면서 대흥군은 폐지되었다. 1934년 대흥면(大興面)으로 유지하다가 예산군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대흥백씨는
    1985년에는 278가구 1,200명, 2000년에는 399가구 1,28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041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대흥백씨는 남포백씨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백씨와 같이 본관을 수원으로 단일화 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