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임천백씨(林川白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백임대(白任大, 1722 壬寅生) : 역과(譯科) 영조29년(1753) 식년시 ()
백화용(白和鏞, 1855 乙卯生) : 역과(譯科) 고종10년(1873) 식년시 ()
백사옥(白思玉, 1774 甲午生) : 역과(譯科) 정조16년(1792) 식년시 ()
백세용(白世鏞, 1868 戊辰生) : 역과(譯科) 고종22년(1885) 식년시 ()
백악용(白樂鏞, 1851 辛亥生) : 역과(譯科) 고종10년(1873) 식년시 ()
백사구(白思○, 1747 丁卯生) : 역과(譯科) 영조44년(1768) 식년시 ()
백건용(白健鏞, 1856 丙辰生) : 역과(譯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
백용배(白容培, 1837 丁酉生) : 역과(譯科) 철종9년(1858) 식년시 ()
백신용(白愼鏞, 1850 庚戌生) : 역과(譯科) 고종19년(1882) 식년시 ()
백인용(白寅鏞, 1851 辛亥生) : 역과(譯科) 고종19년(1882) 식년시 ()
등 모두 3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역과 30명, 의과 4명, 주학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
임천(林川)은 충청남도 부여군(扶餘郡)에 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 가림군(加林郡)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가림(嘉林)으로 고쳤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임주(林州)로 승격하였다가, 1018년(현종 9) 가림현(嘉林縣)으로 강등되었는데 1315년(충숙왕 2) 다시 주(州)로 승격시켰다. 1394년(태조 3) 부(府)로 삼았다가 1401년(태종 1) 임주로 복귀시켰으며, 1403년(태종 3) 다시 부(府)로 승격시켰다가 다시 강등시켰다. 1413년(태종 13) 임천(林川)으로 고치고 군(郡)으로 삼았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가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에 소속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부여군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임천백씨는
1985년에는 74가구 317명, 2000년에는 151가구 47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9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