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청도백씨(淸道白氏)
    유래
    청도백씨(淸道白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백천(白天,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백옥진(白玉珍)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1년(1495) 증광시 삼등(三等)
     백주석(白周錫, 1661 辛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9년(1693)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
    청도(淸道)는 경상북도 남쪽 중앙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사시대에는 이서소국(伊西小國)의 땅이었으나 신라 유리왕 때 신라에 병합되었다가 후에 구도성(仇刀城)의 경내 솔이산(率伊山)·경산(驚山)·오도산(烏刀山)의 3성(城)을 합하여 대성군(大城郡)을 두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구도를 오악현(烏岳縣)으로 개칭하였고, 경산을 형산현(荊山縣)으로, 솔이산을 소산현(蘇山縣)으로 고쳐 밀성군(密城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940년(고려 태조 23) 오악·형산·소산현을 통폐합하여 청도군이라 하였다가 밀성군에 속하게 하였다. 1109년(예종 4) 감무를 두었고, 충혜왕 때 이 고을 사람 김선장(金善莊)의 공로로 청도군이 되었다가 곧 다시 감무가 파견되었다. 1366년(공민왕 15) 청도군이 되었다. 1405년(태종 5) 10도제 실시로 경상도 청도군이 되었다가 태종 때 좌우도로 분할할 때 경상좌도에 속하였다. 1413년 지방제도 개혁에 따라 대구도호부에 속하였고, 1433년(세종 15) 다시 밀양도호부로 환원하였다가 1458년(세조 4) 대구진에 속하였다. 1832년(순조 32) 상읍내·차읍내·내서면·외서면·내종도·상북·차북·하남·상남·외종도·적암·중동·동일위·동이위 등 14개 면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청도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 청도군이 되었다. 1906년(광무 10) 대구군(大邱郡) 각북면(角北面)·현내면(縣內面)·각이동면(角二洞面: 풍각면) 및 각초면(角初面: 각남면)을 편입하였으며, 1979년에 청도군청이 화양면으로 이전하면서 화양면이 화양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화양·청도읍과 각남·풍각·각북·이서·운문·금천·매전면의 2읍 7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도백씨는
    1985년에는 90가구 391명, 2000년에는 213가구 70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7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