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태인경씨(泰仁景氏, 시산)
    유래
     시조 : 경차(景磋)
    기자(箕子)가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같이 왔다는 경여송(景汝松)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가 없으므로 그를 원조(遠祖)로 하고있다.
    고려에 이르러 후손인 경차(景磋)가 조정에 공을 세워 태산군에 봉해졌으므로 경차(景磋)를 시조로 하고 역시 그 후계를 알 수 없어 후손 경상조(景祥祖), 경상록(景祥祿) 형제가 본관을 태인경씨와 해주경씨로 나누어서 대를 이었다. 그러나 최근 다시 태인으로 일원화하여 태인파, 해주파로 일컫고 있다.
    인물
    경예정(景 淨)은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태산군(泰山君)에 습봉되었으며, 예정의 아들 상조는 직제학(直提學)·대사공(大司空)을, 상록은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상록의 아들 훤(暄)은 제조(提調), 훤의 아들 세정(世貞)은 활을 잘 쏘아 무용으로 경기도 병마절도사에 이르고 공훈이 있어 시산군(詩山君)에 봉해졌다. 세정의 아들 일창(日昌)은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土), 일창의 아들 희(曦)는 정당문학(政堂文學)·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를 지냈다. 희의 5대손 경청(景淸)은 공민왕 때 황과(皇科)에 급제, 명(明)나라 건문황제(建文皇帝:惠帝)를 섬겨 좌첨도어사(左僉都御史)에 올랐으며 1400년(정종2) 명나라가 덕주(德州)의 연병(燕兵)을 토벌하자 연병이 대거 남침하여 건문황제를 죽이고 연왕(燕王)이 스스로 칭체(稱帝)하자 그는 복수를 꾀하여 비수를 품고 시측(侍側)했다가 거사 직전에 발각되어 발치박피(拔齒剝皮)의 형을 받으면서도 굴하지 않고 어의(御衣)에 피를 뿜으며 질타했다. 뒤에 충신사(忠臣祠)가 세워졌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경운린(景雲麟, 1574 甲戌生) : 무과(武科) 선조39년(1606) 식년시 병과(丙科)
     경우승(景宇昇, 1722 壬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4년(1768) 식년시 삼등(三等)
     경승명(景承明, 154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15년(1582) 식년시 삼등(三等)
     경변(景變) : 의과(醫科) 고종31년(1894) 식년시
     경유겸(景惟謙, 1586 丙戌生) : 주학(籌學) 광해군3년(1611)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의과 1명, 주학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5世
    홍(弘)
    16世
    왕(王)
    17世
    국(國)
    18世
    석(錫)
    19世
    장(章)
    20世
    두(斗)
    언(彦)
    21世
    인(仁)
    22世
    -
    23世
    -
    2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6世孫은 1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泰仁)은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의 합명이다. 태산현은 본래 백제의 대시산현(大尸山縣)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태산(太山)으로 고쳐 대산(大山)·태산(泰山) 등으로 불렸다. 940년(고려 태조 23) 빈성을 인의현으로 고치고, 1354년(공민왕 3) 대산군 태산(太山)으로 고치고 인의를 편입하였다. 인의현은 백제 때 빈굴(賓屈)·빈성(斌城)·부성(賦城) 등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성(武城)으로 고쳤고, 고려에 인의(仁義)로 고쳤다가 1409년(태종 9)에 태산(泰山)과 합하여 태인현(泰仁縣)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관할의 고부군·태인군·정읍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전라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부군과 태인군이 폐지되었고, 정읍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1930년에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되었고, 1931년에 정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정주읍이 시로 승격하여 정주시와 정읍군으로 나누어졌고, 1995년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태인경씨는
    1985년에는 382가구 1,631명, 2000년에는 504가구 1,61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22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