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하음봉씨(河陰奉氏)
유래
시조 : 봉우((奉佑)
시조 봉우는 1107년(고려 예종2년)에 한 할머니가 강화의 하음면 바다가에 돌로된 상자가 떠다니는것을 발견하고 건져내고 보니 범상치않은 아기가 들어 있어서 이 아기를 왕에게 바쳤더니 왕이 기이하게 여겨 궁중에서 키우고 봉우라는 성과 이름을 하사 하였다고 한다. 봉우는 인종때 공을 세워 하음백에 봉해지고 후손들이 본관을 하음으로 하였다. - 시조의 묘소는 강화군 화도면 덕포리 마니산에 있으며 3월 7일과 10월 8일에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봉사종(奉嗣宗) : 문과(文科) 중종3년(1508) 알성시 병과(丙科)
봉윤(奉綸, 1632 壬申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식년시 병과(丙科) 봉원효(奉元孝, 1426 丙午生) : 문과(文科) 성종5년(1474) 식년시 갑과(甲科) 봉원효(奉元孝) : 문과(文科) 성종7년(1476) 중시 삼등(三等) 봉여길(奉汝吉, 1564 甲子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봉을생(奉乙生,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봉효신(奉孝信,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봉유신(奉有信,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봉사공(奉思恭, 1557 丁巳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봉응길(奉應吉,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3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10명, 생원진사시 18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
하음(河陰)은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지역으로 고구려 때에는 동음내현(冬音奈縣) 또는 아음현(牙音縣)으로 불렸다가 통일신라 때 호음현(沍陰縣)으로 고쳐 해구군(海口郡)에 속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태조 때 하음현(河陰縣)으로 고쳐 개성(開城)의 관할에 두었다. 1413년(태종 13) 현(縣)을 폐하고 강화(江華)에 통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하음면을 간점면과 병합하여 하점면(河岾面)으로 개칭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하음봉씨는
1985년에는 1,563가구 6,584명, 2000년에는 2,500가구 8,08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68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