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수안계씨(遂安桂氏)
    유래
     시조 : 계석손(桂碩遜)
    시조 계석손(桂碩遜)은 중국 천수 출신으로 중국 성양태수(城陽大守) 경횡(炅橫)의 세째 아들이다. 그가 명나라에서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내고 고려말에 우리나라에 귀화하여 수안백(遂安伯)에 봉해짐에 따라 수안을 본관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계덕해(桂德海, 1708 戊子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계덕신(桂德新, 1707 丁亥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식년시 병과(丙科)
     계용혁(桂龍赫, 1858 戊午生) : 문과(文科) 고종28년(1891) 증광시 병과(丙科)
     계덕봉(桂德奉,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계의인(桂義仁,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계유령(桂惟齡, 1622 壬戌生) : 무과(武科) 현종10년(1669) 정시 병과(丙科)
     계연모(桂淵模, 186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등외() 장원급제
     계천기(桂天機, 153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년(1570) 식년시 이등(二等)
     계덕순(桂德淳, 1720 庚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5년(1759) 식년시 삼등(三等)
     계태근(桂泰根, 1857 丁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6년(1879)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1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10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7世
    영(榮)
    8世
    천(千)
    9世
    명(明)
    10世
    덕(德)
    11世
    유(惟)
    12世
    용(龍)
    13世
    자(自)
    남(南)
    14世
    서(瑞)
    원(元)
    15世
    국(國)
    덕(德)
    영(永)
    16世
    문(文)
    성(聖)
    17世
    남(南)
    서(瑞)
    정(廷)
    18世
    석(錫)
    원(元)
    현(顯)
    덕(德)
    학(學)
    택(澤)
    19世
    악(岳)
    영(永)
    효(孝)
    규(奎)
    문(文)
    영(榮)
    석(錫)
    20世
    영(榮)
    건(建)
    상(常)
    용(龍)
    수(秀)
    응(應)
    홍(鴻)
    21世
    배(培)
    창(昌)
    순(淳)
    희(熙)
    영(英)
    기(冀)
    관(觀)
    22世
    집(集)
    교(敎)
    병(柄)
    용(龍)
    승(昇)
    23世
    -
    24世
    -
    25世
    -
    2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8世孫은 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수안
    수안(遂安)은 황해북도에 있는 지명이다. 고구려에는 고소어(古所於)·장새(獐塞)였으며, 748년(신라 경덕왕 7) 장새현으로 개칭하여 서암군(栖巖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018년(현종 9)에는 수안현(遂安縣)이 되어 곡주(谷州)에 속하였으며, 후에 다시 현령(縣令)을 두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는 수주(遂州)로 승격되었다. 1417년(태종 17) 수안군(遂安郡)이 되었다가, 1653년(효종 4) 잠시 현으로 강등되었었다.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때 연암면·공포면·도소면·수구면과 대오면의 일부지역을 연산군에, 율계면을 연탄군에 이관시키고 신계군 사진면의 신리·석교리·산북리·사이곡리를 통합하여 군경계를 조정하였다. 1954년 곡산군 서초리가 평원리에 흡수되었고 용포리의 일부를 좌위리로, 옥치리의 일부를 도전리로, 도전리·산북리의 일부를 용현리에 흡수하였다. 1963년 산북리·석교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주경리를 신설했고 1974년 조양리를 옥치리에 통합시키고 조양리는 폐지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수안계씨는
    1985년에는 1,451가구 5,704명, 2000년에는 1,951가구 6,24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05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