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당성서씨(唐城徐氏)
유래
시조 : 서득부(徐得富)
시조 서득부(徐得富)는 남양서씨의 시조의 서간의 13세손이며 조선 중종(11대)때 유명한 화담 서경덕은 서득부의 증손이다. 그래서 후손들이 남양 서씨에서 본관을 나누어 당성(남양의 옛 지명)으로 하였다. 인물
송도삼절(松都三節)로 불리워진 화담 서경덕(徐敬德)은 시조 서득부(徐得富)의 증손이며 서호번(徐好蕃)의 아들로 서형덕(徐馨德), 서숭덕(徐崇德) 두 아우와 함께 기행(奇行)으로 많은 일화를 남겼고, 학자로 명성을 떨쳤다. 그는 벼슬을 단념하고 개성의 동문 밖 화담(花潭)에 초막을 지어 진리의탐구에 전심, 이기론(理氣論)의 본질을 연구하여 기(氣)와 이(理)의 상관 관계에서 천지만물이 형태화하며, 음양으로 분화(分化)한다는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을 체계화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서경덕(徐敬德)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6년(1531) 식년시 이등(二等)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화성
당성(唐城)은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남양동(南陽洞)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당성군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때 당은군(唐恩郡)으로 개칭하였고, 쌍부(雙阜)·정송(貞松)·안양(安陽) 등을 관할하였다.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 水原)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군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 水原)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 仁川)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재양현(載陽縣: 安陽縣)을 관할하였다. 1290년(충렬왕 16)에 익주(益州)로, 후에 강령도호부(江寧都護府)로,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가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792년(정조 16)에 수원진을 남양으로 옮겨 설치하였고, 별호는 영제(寧堤)·과포(戈浦)라 하였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남양군, 1896년에는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에 따라 수원의 두입지(斗入地)인 팔탄·분향·장안·초장·압정·오정 등 6개면이 남양군에 이관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에 의하여 남양군이 폐지되어 수원군에 병합되었다. 1931년 수원면이 읍(邑)으로 승격하고 1949년에 수원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군역(郡域)이 화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60년에 오산면(烏山面)이 읍으로 승격하고, 1963년에 일왕면(日旺面)이 시흥군과 수원시에 나뉘어 편입되고 태장면(台章面)·안룡면(安龍面) 일부가 수원시에 편입되어 그 잔여지역으로 태안읍을 설치하였다. 1989년 오산읍이 시로 승격하였고, 1995년 반월면(半月面)이 안산시·수원시·군포시에 분리 편입되었다. 1998년 봉담면이 읍으로 승격하였으며, 2001년 화성군이 화성시로 되면서, 남양면이 남양동으로 승격하였다. 2003년 6월 우정면이 우정읍으로 승격하였다. 2004년 태안읍·봉담읍·우정읍, 매송면(梅松面)·비봉면(飛鳳面)·마도면(麻道面)·송산면(松山面)·서신면(西新面)·팔탄면(八灘面)·장안면(長安面)·향남면(鄕南面)·양감면(楊甘面)·정남면(正南面)·동탄면(東灘面), 남양동(南陽洞)의 3읍 11면 1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당성서씨는
1985년에는 145가구 760명, 2000년에는 1,549가구 4,97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