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연산서씨(連山徐氏)
유래
시조 : 서준영(徐俊英)
시조 서준영(徐俊英)은 서신일의 후손으로 대대로 연산에 살았다. 그의 아들 서보가 있었으나 그후의 후대는 알 수가 없으므로 후손인 서의민(徐義敏)을 1세 조상으로 하고 이천 서씨에서 본관을 나누어 연산을 본관으로 하고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서해조(徐海朝, 1691 辛未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증광시 병과(丙科)
서병덕(徐秉德, 1712 壬辰生) : 문과(文科) 영조27년(1751) 정시 병과(丙科) 서병덕(徐秉德, 1712 壬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6년(1750) 식년시 삼등(三等) 서병대(徐秉岱, 1701 辛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9년(1753) 식년시 삼등(三等) 서경현(徐景賢, 1610 庚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7년(1639) 식년시 삼등(三等) 서승원(徐承元, 18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三等) 서필성(徐必成, 1613 癸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3년(1635) 증광시 삼등(三等) 서천령(徐千齡)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년(1546) 식년시 삼등(三等) 서명세(徐名世, 1654 甲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3년(1687) 식년시 삼등(三等) 서해조(徐海朝, 1691 辛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0년(1714)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생원진사시 14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
연산(連山)은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 일원의 옛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황등야산군(黃等也山郡)이라 불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산군(黃山郡)으로 바뀌었고 진잠현(鎭岑縣)과 진동현(珍同縣)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연산현이 되었고, 1018년(현종 9) 공주(公州)의 임내(任內)로 병합되었다가 후에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는 연산현이 되었다가 한 때 은진현(恩津縣)·이산현(伊山縣)과 통합되어 은산현(恩山縣)이 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3현이 군이 되어 공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속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연산군은 폐지되고 연산면 등 5개 면으로 나누어 논산군에 통합되었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연산서씨는
1985년에는 1,492가구 6,342명, 2000년에는 1,980가구 6,41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510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