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월성석씨(月城昔氏)
    유래
     시조 : 석재흥(昔載興)
    석씨는 박(朴), 김(金)과 함께 신라 56왕중 8명의 왕이 즉위한 신라 3대 왕성중의 하나이며 시조 석재흥(昔載興)은 신라 4대 왕 석탈해의 23대손이다. 석재흥은 고려때에 시랑을 지냈으며 후손들이 그를 1세 조상으로하여 본관을 월성(경주의 옛이름)으로 했다.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 다음과 같은 석탈해의 전설이 전한다.
    신라 남해왕 때에 가락국 바다 가운데에 배가 한 척이 와서 닿았다. 수로왕이 이를 보고 들을 맞이하여 머물게 하려고 했으나, 그배는 나는 듯이 계림동쪽 하서지촌(下西知村)의 아진포(阿珍浦)로 달아났다. 이때 마침 포구에 어부가 배를 끌어 당겨 보니까 까치들이 배 위에 모여들었으며 상자가 하나 있었다. 이상자를 열어보니 단정히 생긴 사내아이 하나와 일곱가지 보석과 노비들이 있었다. 그들을 7일동안 잘 대접했더니 사내아이는
    "나는 원래 용성국(龍城國) 사람인데 함달파(含達婆)왕이 오래동안 왕이 없다가 7년만에 커다란 알을 하나낳자 왕과 신하들이 "사람이 알을 낳았으니 좋은일이 아닐것이다"라며 상자에 나와 일곱가지 보석과 노비를 넣어서 배에 실은 뒤 바다에 띄우자 붉은 용이 나타나 배를 호위하여 여기까지 오게된것이오" 라고 하였다.

    그 아이가 산위에 올라가 살만한곳을 찾다가 산봉우리에 있는 집을 발견하고 숫돌과 숫을 몰래 그집마당에 묻어 놓고, 다음날 그집으로 찾아가서 이집은 원래 대장간을 하던 우리조상이 살던 집이라며 땅을 파서 대장간 이었던것을 확인시키고 집을 빼앗았다. 그래서 후에 옛날에 남의 집을 내집이라며 빼앗았다 해서 석씨라고 했다고도 하며 鵲(까치 작)의 鳥를 떼어내고 성을 했다고도 한다. 이때 남해왕은 탈해가 지혜가있는 사람임을 알고 그를 첫째딸과 결혼을 시켰으며 57년에 왕위에 올랐다.
    일설에는 예계(穢系)의 한지방 우두머리가 가락을 거쳐 신라에 들어왔다는 설도 있다.
    항렬자
    38世
    기(基)
    39世
    진(鎭)
    40世
    하(河)
    41世
    동(東)
    42世
    영(榮)
    43世
    규(圭)
    44世
    호(鎬)
    45世
    준(準)
    46世
    식(植)
    47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9世孫은 38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
    월성(月城)은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경주(慶州)의 옛 지명으로 기원전 57년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 국호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 시조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으로 사용하였다.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고 충렬왕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로 개칭한 이후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으며,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과 통합하여 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월성석씨는
    1985년에는 897가구 3,749명, 2000년에는 470가구 1,52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3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