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창녕성씨(昌寧成氏)
    유래
     시조 : 성인보(成仁輔)
    시조 성인보(成仁輔)의 고려 중기 때 사람이며, 아버지는 성숙생으로 신라 대관 성저의 후손이라고 한다. 성인보(成仁輔)는 창녕에서 대대로 살아온 선비이며 창녕에서 호장중윤을 지냈다. 후손들도 창녕에서 정착하여 살았으므로 본관을 창녕으로 하였다.

    묘소는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 맥산(麥山)에 있다.
    주요 인물
    성담수(成聃壽)성삼문(成三問)성간(成侃)성건(成健)성경온(成景溫)
    성계선(成啓善)성규헌(成揆憲)성근묵(成近默)성기열(成耆說)성기운(成岐運)
    성기인(成起寅)성낙서(成樂緖)성낙훈(成樂熏)성내운(成來運)성달생(成達生)
    성담년(成聃年)성대영(成大永)성대중(成大中)성대훈(成大勳)성덕구(成德求)
    성덕우(成德雨)성도묵(成道默)성락(成洛)성람(成灠)성로(成輅)
    성륜(成倫)성만징(成萬徵)성몽기(成夢箕)성몽정(成夢井)성문준(成文濬)
    성발도(成發道)성백선(成百善)성봉조(成奉祖)성사달(成士達)성석린(成石璘)
    성석용(成石瑢)성석인(成石因)성세명(成世明)성세순(成世純)성세영(成世英)
    성세장(成世章)성세창(成世昌)성세평(成世平)성수경(成守慶)성수묵(成遂默)
    성수익(成壽益)성수종(成守琮)성수침(成守琛)성숙(成俶)성승(成勝)
    성식(成軾)성안의(成安義)성억(成抑)성언근(成彦根)성언집(成彦檝)
    성여신(成汝信)성여완(成汝完)성여학(成汝學)성염조(成念祖)성영(成泳)
    성영달(成永達)성우길(成佑吉)성운(成運)성운(成雲)성운한(成雲翰)
    성원규(成元揆)성원묵(成原默)성윤문(成允文)성윤신(成允信)성윤조(成允祖)
    성윤해(成允諧)성이문(成以文)성이민(成以敏)성이성(成以性)성이호(成彛鎬)
    성인기(成仁基)성임(成任)성재한(成載翰)성제원(成悌元)성주덕(成周悳)
    성준(成俊)성준구(成俊耉)성중엄(成重淹)성지행(成至行)성직(成稷)
    성진(成晉)성진선(成晉善)성천주(成天柱)성천희(成天禧)성팽년(成彭年)
    성하구(成夏耉)성하식(成夏植)성하연(成夏衍)성하종(成夏宗)성한(成僩)
    성해응(成海應)성헌징(成獻徵)성현(成俔)성호(成浩)성호선(成好善)
    성호징(成虎徵)성혼(成渾)성환(成瑍)성효기(成孝基)성효원(成孝元)
    성후설(成後卨)성희(成熺)성희안(成希顔)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성몽열(成夢說) : 문과(文科) 중종34년(1539)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성덕윤(成德潤, 1689 己巳生) : 문과(文科) 경종2년(1722)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성이민(成以敏, 1565 乙丑生) : 문과(文科) 선조28년(1595)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성진(成晉)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성유열(成有烈, 1698 戊寅生) : 문과(文科) 영조2년(172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성삼문(成三問) : 문과(文科) 세종29년(1447) 중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성임(成任)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발영시 이등(二等)
     성중온(成仲溫) : 문과(文科) 연산군2년(1496) 식년시 을과(乙科)
     성희안(成希顔, 1461 辛巳生) : 문과(文科) 성종16년(1485) 별시 이등(二等)
     성세명(成世明, 1447 丁卯生) : 문과(文科) 성종6년(1475) 친시 병과(丙科)
    등 모두 48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34명, 무과 21명, 생원진사시 322명, 음양과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3世
    문(文)
    무(武)
    34世
    균(均)
    배(培)
    35世
    선(善)
    은(銀)
    36世
    강(康)
    우(雨)
    37世
    원(元)
    춘(春)
    38世
    하(夏)
    연(然)
    39世
    신(信)
    교(敎)
    40世
    구(九)
    의(義)
    41世
    승(承)
    만(滿)
    42世
    동(東)
    채(彩)
    43世
    용(容)
    지(志)
    44世
    중(中)
    재(在)
    45世
    상(商)
    금(錦)
    46世
    준(準)
    홍(洪)
    47世
    화(和)
    수(秀)
    48世
    남(南)
    칠(七)
    49世
    효(孝)
    치(致)
    50世
    백(百)
    록(錄)
    51世
    운(雲)
    호(浩)
    52世
    래(來)
    상(相)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4世孫은 33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창녕
    창녕(昌寧)은 경상남도 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옛 창녕현(昌寧縣)과 영산현(靈山縣)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본래 삼한시대에 불사국(不斯國), 이후의 빛벌가야(非火伽倻) 지역이었다. 신라에 의해 555년(신라 진흥왕 16) 하주(下州)가 설치되었고, 565년(진흥황 26) 비자화군(比自火郡) 또는 비사벌군(比斯伐郡)으로 개칭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화왕군으로 바뀌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창녕군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밀성군(密城郡: 密陽)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창녕군에 속하기도 하였다. 1274년(원종 15)에 영산현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창녕현으로 되었고, 1631년(인조 9) 창녕현이 영산현에 합쳐졌다가 얼마 후에 복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창녕군·영산군이 되었으며, 1896년에 경상남도 창녕군·영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산군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1960년 창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창녕성씨는
    1985년에는 37,903가구 158,385명, 2000년에는 52,058가구 167,90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2,37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