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경주손씨(慶州孫氏, 월성)
유래
시조 : 손순(孫順)
시조 손순(孫順)의 자손 손익감, 손익담, 손익원 3형제 중 손익원이 월성(경주)군에 봉해지자 본관을 경주로 했다. 그 후 문헌상 고증(考證)할 수 있는 기록이 존재하지 않아 고려 말에 가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를 지낸 손경원(孫敬源)을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인물
손경원의 증손 손사성(孫士晟)이 조선 세종 때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졌으며, 그의 아들 손욱(孫旭)과 손소(孫昭)의 형제가 세조 때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가문의 기틀을 다지기 시작했다.
손소는 1459년(세조 5년)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고 주부(主簿)와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역임한 후 형인 영북 어사(嶺北御史) 손욱과 함께 이시애의 난 때 평정에 참여하여 손욱은 함흥에서 순절하였고, 그는 난을 평정한 후 적개이등공신(敵愾二等功臣)으로 책록되어 내섬시정(內贍寺正)에 특진, 성주 목사(星州牧使)와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거쳐 계천군(鷄川君)에 봉해졌으며, 안동 부사(安東府使)와 진주 목사(晋州牧使)를 역임하며 특히 문장(文章)과 글씨로 명망이 높았다. 손소의 둘째 아들로 탁월한 문장과 경륜(經倫)에 밝았던 손중돈(孫仲暾)은 일찍이 김종직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하고 1489년(성종 20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시작으로 여러 청환직(淸宦職)과 양산 군수(梁山郡守)를 지낸 후 사복시정(司僕寺正)에 올라 연산군의 폭정으로 간관(諫官)들이 거의 다 쫓겨날 때 파직당했으나 중종반정 후에 복직,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지어 그의 공덕을 추모했으며, 1517년(중종 12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공조(工曹)와 이조(吏曹) 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도승지(都承旨)를 3번, 대사간(大司諫)을 4번, 경상, 전라, 충청, 함경도 관찰사(觀察使)를 지내고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렀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어 크게 명성을 떨쳤다. 그 외 정언(正言)을 지낸 손회종(孫會宗), 부사(府使) 손만웅(孫萬雄), 현감(縣 監) 손경익(孫景翼), 감찰(監察) 손회경(孫會慶), 이조 좌랑(吏曹佐郞) 손병주(孫秉周),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손상일(孫相馹), 손기영(孫耆永) 등이 유명했고, 손번(孫蕃)은 전시문과(殿試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과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을 지내고 편수사(編修事)가 되어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중종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에 이르렀다. 손윤원(孫潤源)은 군자감(軍資監)의 봉사(奉事)를 지내고 임진왜란 때 참전하여 창암(倉巖) 전투에서 많은 전공을 세우고 장렬하게 순절하여 의절(義節)의 가통(家統)을 세웠으며, 손영곤(孫永坤)은 효행으로 이름을 떨쳤다. 손종로(孫宗老)는 광해군 때 무과에 급제했으나 인목대비(仁穆大妃: 선조의 계비, 영창대군의 어머니)가 서궁(西宮)에 유폐되자 이를 개탄하여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가 인조반정 후에 남포 현감(藍浦縣監)을 지냈으며, 병자호란 때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허완(許完)의 막하(幕下)로 들어가 이천의 쌍령(雙嶺) 싸움에서 적과 대전하다가 순절하여 훈련원정(訓鍊院正)에 추증되었고 정조 때 왕명으로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다. 그밖에 진해 현감(鎭海縣監) 손식(孫湜), 부사(府使) 손종책(孫鍾策), 군수(郡守) 손병수(孫秉秀) 등이 경주손씨를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손만웅(孫萬雄, 1643 癸未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식년시 을과(乙科)
손호익(孫昊翼, 1827 丁亥生) : 문과(文科) 철종3년(1852) 식년시 병과(丙科) 손경석(孫景錫, 1669 己酉生) : 문과(文科) 숙종22년(1696) 식년시 병과(丙科) 손이웅(孫以雄, 1680 庚申生) : 문과(文科) 영조2년(1726) 식년시 병과(丙科) 손욱(孫旭)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증광시 정과(丁科) 손석규(孫錫奎, 1810 庚午生) : 문과(文科) 헌종4년(1838) 함경도도과 병과(丙科) 손병주(孫秉周, 1781 辛丑生) : 문과(文科) 순조23년(1823) 정시 병과(丙科) 손상호(孫相昊, 1797 丁巳生) : 문과(文科) 순조28년(1828) 식년시 병과(丙科) 손중돈(孫仲暾, 1463 癸未生) : 문과(文科) 성종20년(1489) 식년시 병과(丙科) 손사명(孫士明) : 문과(文科) 세종5년(1423)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등 모두 6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1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36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
경주(慶州)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 국호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년(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 시조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으로 사용하였다.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년(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고 충렬왕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로 개칭한 이후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으며,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과 통합하여 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경주손씨는
1985년에는 19,462가구 81,560명, 2000년에는 24,830가구 78,45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8,486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