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비안손씨(比安孫氏, 병산)
    유래
     시조 : 손을구(孫乙口)
    시조는 손을구(孫乙口)이며 때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에 무과에 북변(北邊)에 침입한 외적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치고 절제사(節制使)를 지냈다고 한다.
    그 후의 기록은 없어서 조선 세종 때에 도총관(都摠管)을 지내고 비안의 도락촌(道樂村)으로 낙향하여 살아온 손안무(孫安懋)를 1세 조상으로 하고 있다.
    인물
    조선 세조 때 통훈대부(通訓大夫)로 평시서령(平市署令)을 지낸 손안무의 세째 아들 손상(孫庠)은 목민관(牧民官)에 있을 때 선정(善政)을 베풀고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으며, 손안무의 손자로 대서성(大司成)을 지낸 손식(孫湜)과 문과에 급제하고 도사(都事)를 역임한 손조 형제가 유명했다.
    한편 음관(蔭官)으로 부사직(副司直)에 올랐던 손승렬(孫承烈)의 아들 손절은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냈으며,
    손승렬의 증손 손윤업(孫胤業)은 일찍이 고응경(高應擎)의 문하(門下) 에서 학문을 닦고 1612년(광해군 4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문하생인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창석(蒼石) 이준(李埈)등과 함께 도의(道義)를 교류하며 예학(禮學)을 강론(講論)하여 크게 문명(文名)을 떨쳤다.
    손윤업의 둘째 아들 손계창(孫啓昌)이 봉렬대부(奉烈大夫)로 통례원상례(通禮院相禮)에, 셋째 손이창(孫以昌)은 통정대부(通政大夫)로 호조참의(戶曹參議)에 각각 추증되어 가세(家勢)를 일으켰다.
    그 외 손익진(孫翼振: 손극창의 현손)의 아들 손흥조(孫興祖)가 순조 때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한 후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와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이르러 벼슬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귀와(龜窩) 김굉(金宏) 등과 더불어 예학(禮學)을 강론(講論)하며 여생을 보냈고, 통덕랑(通德郞) 손덕항(孫德恒)은 효행으로 이름을 떨쳐 가문을 더욱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손흥조(孫興祖, 1765 乙酉生) : 문과(文科) 순조4년(1804) 춘당대시 병과(丙科)
     손윤업(孫允業, 156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4년(1612) 식년시 삼등(三等)
     손흥조(孫興祖, 1765 乙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6년(1792)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9世
    명(命)
    10世
    휘(徽)
    태(泰)
    11世
    진(振)
    12世
    조(祖)
    13世
    항(恒)
    14世
    유(有)
    15世
    기(基)
    16世
    호(鎬)
    17世
    영(永)
    18世
    상(相)
    동(東)
    19世
    병(炳)
    20世
    -
    21世
    -
    22世
    -
    23世
    -
    24世
    -
    25世
    -
    26世
    -
    27世
    -
    28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0世孫은 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경상북도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으로 비옥(比屋)과 안정(安貞) 2개현을 합명한 것이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비옥현(比屋縣)으로 고쳐, 문소군(聞韶郡: 義城)의 영현을 삼았다. 한편 안정현(安貞縣)은 본래 신라의 아시혜현(阿尸兮縣)을 경덕왕이 안현현(安賢縣)으로 고쳤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안정현으로 개칭하여 비옥현과 더불어 상주목(尙州牧)의 관할이 되었다. 1421년(세종 3)에 안정현과 합하여 안비현(安比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423년에 두 현을 합해서 비안현(比安縣)이라 하였다. 병산(幷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8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편으로 대구부 비안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경상북도 소속이 되었다. 그 후 1914년에는 군면 폐합으로 현서면(縣西面)은 예천군에 속하고, 나머지는 의성군에 병합되어 비안군은 폐지되고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으로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비안손씨는
    1985년에는 134가구 593명, 2000년에는 132가구 42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4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