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평해손씨(平海孫氏)
유래
시조 : 손순(孫順)
시조 손순(孫順)의 자손 손익감, 손익담, 손익원 3형제 중 손익담(孫翼淡 : 이부 상서 손부의 둘째 아들)이 평해군(平海君)에 봉해져서 손익담을 1세조로 하여 본관을 평해로 하고있다. 손익담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며, 언제 어떻게 평해군에 봉해졌는지에 대해서도 기록이 없다. 인물
손익담의 아들 손경상(孫景尙)이 고려에서 나라에 공을 세워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지고, 손자 손술조(孫術祖)가 병부상서(兵部尙書)로 평해군에 봉군되어 가세(家勢)가 융성하게 되었으며, 손도진(孫道津)의 아들 손기정(孫起貞)이 병부상서를 거쳐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이르러 크게 명성을 떨쳤다.
고려 원종 때 임연(林衍)의 난을 평정시켜 기성후(箕城侯)에 봉해진 손인량(孫仁亮)이 뛰어났으며, 손득부(孫得富)의 아들 손영(孫永)은 충숙왕 때 가정대부(嘉靖大夫)로 형조참판(形曹參判)을 지내고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에 추증되어, 정선군수(旌善郡守)를 역임하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된 손밀(孫密)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 손밀의 맏아들 손인효(孫仁孝)는 단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일등(一等)으로 올라 장래가 촉망되는 인재였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어린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하자 이를 개탄하여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절의(節義)를 지키니 세상 사람들은 그를 동방청절사(東方淸節士)라 불렀다. 손인효의 동생 손순효(孫舜孝)는 세조 때 중시문과(重試文科)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전한(典翰) 겸 집의(執義)에 올라 17개 항목의 정책(政策)을 상소하고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이르렀고, 특히 성종이 윤비(尹妃)를 폐위할 때 그 부당함을 극간했다. 그후 좌찬성(左贊成)이 되어 1487년(성종 18년) 식료찬요(食療撰要)를 찬진했으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러 궤장을 하사받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은 학자로 그림에도 뛰어나서 죽화(竹畵)에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손순효의 아들 손주(孫澍)는 성종 때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장령(掌令)과 정언(正言), 수찬(修撰), 부제학(副提學) 등을 거쳐 중종 때 형조참판(刑曹參判) 이 되고, 1521년(중종 16년)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하존시사(賀尊諡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뒤에 예조판서(禮曹判書)와 우참찬(右參贊)을 역임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使)에 이르렀다. 그밖의 인물로는 군수(郡守) 손부(孫溥)와 호조참판(戶曹參判) 손식(孫軾), 참의(參議) 손윤선(孫胤善) 등이 유명했으며, 손몽열(孫夢說)의 아들 손필대(孫必大)는 인조 때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공청도 도사(公淸道都事)와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내고 지제교(知製敎)에 이르렀으며 시문(詩文) 이 탁월하여 당대에 이름난 시인으로 명망이 높아 평해손씨를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손순효(孫舜孝) : 문과(文科) 세조3년(1457) 중시 정과(丁科)
손순효(孫舜孝, 1427 丁未生)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증광시 을과(乙科) 손식(孫軾) : 문과(文科) 명종7년(1552) 식년시 병과(丙科) 손필대(孫必大, 1599 己亥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식년시 병과(丙科) 손윤선(孫胤先) : 문과(文科) 선조12년(1579) 식년시 병과(丙科) 손부(孫溥) : 문과(文科) 중종17년(1522) 식년시 을과(乙科) 손윤증(孫胤曾) : 문과(文科) 명종3년(1548) 별시 병과(丙科) 손주(孫澍) : 문과(文科) 성종23년(1492) 식년시 을과(乙科) 손후석(孫後奭, 1612 壬子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손귀익(孫貴益)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6명)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
평해(平海)는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와 신라에 속했을 때의 근을어현(斤乙於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평해로 고쳐 유린군(有隣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예주(禮州)의 영현이 되었고, 1172년(명종 2)엔 지군사로 승격되었다. 1466년(세조 12)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울진군 평해면이 되었고, 1963년에는 울진군이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1980년 평해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해손씨는
1985년에는 2,831가구 11,422명, 2000년에는 4,104가구 12,83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48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