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문경송씨(聞慶宋氏)
    유래
     시조 : 송신경(宋臣敬)
    시조 송신경(宋臣敬)은 고려때 공부전서, 이부전서 등을 역임하고 고려말기 정국의 문란함을 수습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관직을 버리고 문경으로 내려가 살았다. 그래서 후손들이 문경에 정착하여 살면서 본관을 문경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수중(宋守中) : 문과(文科) 세종23년(1441) 식년시 정과(丁科)
     송석룡(宋錫龍, 1739 己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년(1777) 식년시 삼등(三等)
     송흥경(宋興慶, 1678 戊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경종1년(1721) 식년시 삼등(三等)
     송홍(宋弘)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0년(1525) 식년시 삼등(三等)
     송문도(宋文道, 1693 癸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1년(1725) 증광시 삼등(三等)
     송현도(宋顯道, 1662 壬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8년(1682)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7世
    현(鉉)
    18世
    수(洙)
    19世
    근(根)
    20世
    용(容)
    21世
    재(在)
    22世
    선(善)
    23世
    -
    24世
    -
    25世
    -
    2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문경
    문경(聞慶)은 경상북도 문경시(聞慶市) 일원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고사갈이(高思葛伊) 또는 관문현(冠文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관산현(冠山縣)으로 고쳐 고령군(古寧郡: 咸昌)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문희군(聞喜郡)라 개칭하고 1018년(현종 9) 때 상주에 편입시켰다가 후에 문경현(聞慶縣)으로 고쳤다. 1390년(공양왕 2)에는 감무를 두어 독립하면서 상주의 속현 중 하나인 가은현(加恩縣)을 병합하였다. 조선 태종 때 문경현이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문경군이 되었다. 1896년 경상북도 소속이 되었다. 1973년 문경면과 가은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6년에는 점촌읍이 시로 승격하여 분리되었다. 1995년에 문경군과 점촌시가 문경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문경송씨는
    1985년에는 1,217가구 5,459명, 2000년에는 1,035가구 3,32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25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