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신평송씨(新平宋氏) - 1
유래
시조 : 송구진(宋丘進)
여산 송씨의 시조 송유익의 12세손 송말선이 홍주의 신평에 살았으나 보책이 없어져 계대를 밝힐 수없자 홍주송씨는 송평을 시조로하고, 신평송씨(1)는 송구진을 신평송씨(2)는 구진의 후손인 송자은을 시조로 하고 있다. 신평송씨(1)의 시조 송구진(宋丘進)은 연산에 대대로 살았으며 고려때에 서운관정겸 습사도감판관을 지냈다. 후손들이 시조의 선조가 살던 신평을 본관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순(宋純, 1493 癸丑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별시 을과(乙科)
송흠(宋欽, 1459 己卯生) : 문과(文科) 성종23년(1492) 식년시 병과(丙科) 송익중(宋益中, 1729 己酉生) : 문과(文科) 영조29년(1753) 식년시 병과(丙科) 송상문(宋尙問, 1619 己未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식년시 병과(丙科) 송만(宋○, 1643 癸未生) : 문과(文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병과(丙科) 송돈(宋燉, 1777 丁酉生) : 문과(文科) 헌종12년(1846) 식년시 병과(丙科) 송두문(宋斗文, 1601 辛丑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식년시 을과(乙科) 송상은(宋相殷, 1742 壬戌生) : 문과(文科) 영조47년(1771) 식년시 병과(丙科) 송문즙(宋文楫, 1739 己未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식년시 병과(丙科) 송우창(宋又昌)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3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9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항렬자
담양파
영광파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신평(新平)은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에 속해 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백제 사평현(沙平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평으로 고쳐서 혜성(槥城: 沔川)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인 태조 대에 이곳에 운주(運州)를 설치하고,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도단련사(都團練使)를 파견하였다. 1018년(현종 9) 홍주(洪州)에 예속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는 왕사(王師) 보우(普愚)의 고향이라 하여 홍주목으로 승격되었다가, 1368년에 다시 홍주로 강등되었으며, 1371년에 다시 홍주목이 되어 조선시대 말까지 유지되었다. 조선 세종 때 진(鎭)을 두었으며 뒤에 홍양현(洪陽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914년 홍성군(洪城郡)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면천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이웃한 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평면으로 개칭하였고 당진군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지역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신평송씨(1)는
1985년에는 98가구 542명, 2000년에는 3,478가구 11,18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3,916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