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여산송씨(礪山宋氏)
    유래
     시조 : 송유익(宋惟翊)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고려 때에 진사로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이며 중시조인 송례는 유익의 4세손으로 고려 원종때 문하시중 판전리사사상장군으로 여양(여산)부원군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송례를 중시조로하고 1세 조상으로 하였으며, 여산을 본관으로 하였다.

    - 묘소는 여산 문수동에 있으며 매년 동지에 향사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상순(宋祥淳, 1842 壬寅生) : 문과(文科) 철종14년(186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겸(宋○) : 문과(文科) 중종15년(152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준(宋駿,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선조27년(1594)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세림(宋世琳) : 문과(文科) 연산군8년(1502) 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송식(宋軾) : 문과(文科) 성종21년(149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익연(宋翼淵, 1767 丁亥生) : 문과(文科) 순조4년(1804) 식년시 을과(乙科)
     송도석(宋道錫, 1652 壬辰生) : 문과(文科) 숙종13년(1687) 식년시 병과(丙科)
     송익언(宋翼彦, 1730 庚戌生) : 문과(文科) 영조51년(1775) 별시 을과(乙科)
     송시철(宋時喆,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효종4년(1653) 별시 병과(丙科)
     송행길(宋行吉,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개시 병과(丙科)
    등 모두 35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4명, 무과 51명, 생원진사시 229명, 음양과 1명, 율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6世
    인(寅)
    27世
    현(顯)
    28世
    의(義)
    29世
    범(範)
    30世
    -
    31世
    -
    32世
    -
    33世
    -
    34世
    -
    3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익산
    여산(礪山)은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이 합쳐진 지명이다. 여량현(礪良縣: 일명 礪良)은 백제 때에는 지량초현(只良肖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개칭하였다. 낭산현(朗山縣)은 백제의 알지산현(閼地山縣)인데 신라 경덕왕 때 야산현(野山縣)으로 바꾸었다. 940년(고려 태종 23)에 야산현을 낭산현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에는 전주의 속현이 되었다. 1396년(태조 5)에 여량현이 낭산현을 병합하였고, 1399년(정종 2)에는 여산현이라 개칭하였다. 1436년(세종 18)에 여산군으로 승격되었고, 1699(숙종 25)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 여양(礪陽)과 호산(壺山)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1896년 전라북도 여산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여산군이 폐지되고 관할 11개면이 여산면 등 5개면으로 통합되어 익산시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산송씨는
    1985년에는 48,212가구 200,334명, 2000년에는 72,763가구 232,75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94,788명으로 조사되었다.